간날 : 2025. 5. 11 . 둘째일요일 . 날씨 ; 맑음/ 운무
간곳 : 전남 순창 무직산 ( 珷織山) 578.5 m
위치 : 전북 순창군 구림면 안정리
네비: 금평교 ( 전남 순창군 구림면 )
답사코스 :
금평교- 옥새바위 / 386m - 415봉 - 한반도지형 전망대- 율리갈림길- 무직산정상-
부처바위 - 칼바위 데크로드 -밀양박씨가족묘- 산길끝 -치천 수변길 - 잠수교
( 산행거리 5 km 산행시간 3시간 )
참가인원 : 대구 OK 산악회회원 43명
산(山) 소개:
무직산(珷織山) 578.5 m
순창군 구림면 금천리에 있는 산으로 무(珷)자는 ‘옥돌’을 말하며, 직(織)자는 ‘짜다’는
뜻이니 옥돌로 짜여진 산이란 뜻으로 육산에 울창한 송림(松林)과 옥새봉, 부처바위 ,
칼날 암릉이 어울려 한폭의 동양화를 연상하는 아름다운 비경과 산 아래에는
한반도 지형을 닮은 지형과 호정소(湖淨沼)가 있고, 수변 둘레길이 조성되어 있어
산행과 트레킹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산이다.
무직산의 유래에는 호정소에 용이 되지 못한 못된 이무기가 살았다. 비린내를 좋아해
주민이비린 생선을 먹고 지나가면 물고 행패를 부려 무직장군이 산 동쪽 호정소와
이어진 큰 동굴로들어가 이무기를 쫓아냈다는 무직장군 전설이 있다. 산 형태가
무지개를 닮았으며 산등성이로 무지개가 자주 떠올라 무직산이 됐다는 이야기도 있다.
무직산에서 보이는 조망이 한반도 지형이라고 외부에는 일부 알려졌으나,
남성의 생식기가 여성의 자궁(호정소)에 깊숙히 들어와 있는 모양이라고 마을
사람들은 말한다. 어느해 노루목재에 도로가 나면서 마을에 사단이 났다고 한다.
건강하던 장정들이 갑자기원인을알수없이 죽어 나가면서 마을에서는
도로 탓에 끊어진 남근 때문으로 보고 노루목재에생태터널을 만들어 능선을
복원했다. 그 뒤 더는 불상사는 일어나지 않았다 한다.
대구 OK 산악회 5월 정기산행 전남순창에 무직산을 산행하기위하여
대구에서 07시반 에 출발하여 산행 출발지 무직산등산로 입구 금평교 에
11시 다되어 도착한다.
금평교에서 호정소 등산로 방향으로
다리을 건너며는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옥새봉방향이고
좌측으로 호정소 둘레길는 오늘 우리 B조들이 간코스이다. .
우측 등산로 방향에 간이 화장실도있고
앞에 보이는 철탑 옆으로 옥새바위로 오르는 등산로이다.
금평교를 건너며있는 호정소 탐방로와 등산로 안내도에 등산로 로
포기한곳이 무직산 정상이다.
수변 산책로를 조금가면 왼쪽에 등산로 이정표가보이고
오늘 종주하는 A 팀들 확인을 하고
임도길따라 오르니
이정표방향 우측으로 데크목교옆에
무직산 등산로안내도와
이정표가보이는데 무직산 정상 2.5km , 옥새바위 600m
야자매트길 우측으로 목 계단을 오르며는
선답자 표시기들이 달려있는 곳에서 산길이 완만해지고
밴치가있는 쉼터 어느묘지앞에서 잠시휴식을 하고
한번더 경사길을 치고오르니 평지가 나타나고 양 길가에 밴치 쉼터가있지마는
그냥통과한다.
산길은 소나무가많아지고 앞에 암봉이나타나드니
이 암봉을 우측으로 우회을 하고
전망좋은 곳에서
건너 서쪽으로 회문산 장군봉이 보인다
계곡건너 가야할 무직산의 능선이 펼쳐지고
하산할능선 도 경사가 심할것다.
옥새바위
반대편에서 보며는 옥새바위는 임금님의 옥새(玉璽)를 닮은 형상에서
유래되었는다는 8 - 10m 높이의 기암이다
옥새바위 좌우측으로 길이보이지마는 우측으로는 돌아가야한다.
오른쪽으로 돌아올라가면 옥새바위봉 아래 조망터가 나온다.
옥새봉(玉璽峰) 385m
옥새봉을 솥뚜껑 바위, 소 바위, 거북 바위라고도 하며 반대편에서보며는
아기코끼리 , 바둑이 모양으로도보인다.
옥새봉 아래에서의 조망
뒷쪽으로 회문지맥의 세자봉, 여분산, 장군봉, 회문산으로 이어지고 그능선앞에
무직산 부처바위도 보인다.
앞에 415m 봉을 바라보고
경사길을 조금치고 오르니 선답자들 표시기 들이 많이 달린
415m봉
산길 주의해야하는곳이다. 무직산 방향은 좌틀해서 내리막을 내려가야한다.
왼쪽으로 급경사 길을 내려가면 데크계단이 시작되고
안부까지 길게 내려간다.
잡목이 우겨진 안부을 지나
다시 오름막길을 오르니 데크 계단이 시작되고
계단 을 오르며는 한반도지형 전망대에 도착한다.
호정소(湖淨沼) 전망대.
한반도 지형과 옥새봉을 조망하는 전망대 설명판도있다.
전망대에서 본조망
한반도 지형뒤쪽으로는 회문산 장군봉과 회문산 능선이 펼쳐지고
산아래로 구림면 호정소(湖瀞沼) 수변길 출발지점과 한바퀴 도는
수변산책로가 내려다보이고
호정소(湖瀞沼)는 태극 모양의 한반도를 닮은 지형으로 마을 사람들은
남근이 발기해 삽입한 모양으로 발기한 남근을 양(陽).
움푹 팬 호정소를 음(陰)으로 마주 보고 있어 음양(陰陽)의 형상이라고도 한다.
북쪽과 서쪽으로 회문산 장군봉 여분산 이 둘려쌓여있고
한반도 전망대에서는 바라보는 옥새바위
옥새바위을 당겨보니 아기코끼리, 강아지 같은 모습으로도 보인다.
한반도 지형전망대에서
2023년 10월 22일 답사시
필자 / 산새
전망대을 지나 완만한 능선으로 조금 오르니 무직산 정상 0.4㎞ 전 이정표가있다.
산불초소와 정상석이 보이는 무직산 정상이다.
무직산(珷織山) 590m
한문 정상석 뒷면
구 정상석도 옆에 있다
정상에서 단체기념찰영
오늘 산행을 총 지휘하는 대구OK산악회 최성록 대장
필자/ 산새
2023년 10월 22일 답사시 사진
무직산 정상에서 조망 좌측으로 올라온능선
우측 오늘 하산할능선
하산은 회문산 자연휴양림 방향이다.
정상에서 하산하는 암릉
제2전망대조망
한반도 지형으로 알려졌으나 남성의 생식기가 여성의 자궁(호정소)에
깊숙히 들어와 있는 모양이라고한다.
회문산과 장군봉능선 .
선답자들 표시기가 많이 달려있는 정상석이서있는곳보다 조
금더높은 무직산 상봉 이다.
데크계단으로 내려간다.
부처바위
스핑크스.삼신할머니.불(佛)바위로 불리는데 스핑크스는 산꾼들이, 삼신할머니 바위는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분이 올라와 기도하면 소원을 들어 준다고 해 마을에서 이렇게 부른다.
불바위는 만일사에서 부르는 이름이며 부처바위를 뜻한다.
부처 바위지점 설명서와 안내도
부처바위 또는 스핑크스바위라고 한다.
칼바위 암릉에설치한 데크로드
멀리서보며는 구름다리같다.
호정소도 한번더 내려다보고
경사가심한 숲길따라 내려간다.
밀양박씨 문중묘지을 지나
아래 산길끝지점이보이고
우측은 만일사 방향 수변 산책로 이정표 반대편 방향 호정소 수변산책로로 가야한다.
무직산 산길 날머리로 내려서서
모두 수고많았습니다.
호정소 방향 수변산책로로 간다.
치천건너 부채바위 암벽
검은 물색의 치천(구림천)은 무직산 아래 자리한 치천(淄川)마을 앞으로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하천이다.
호정소 둘레길로 온 B조들이 도로건너에서 반가워한다.
오전에 지나간 옥새봉 암봉을 바라보고
수변산책로에서 본 옥새바위
지도에 치천 잠수교는 현재 다리가 놓여있다.
수변산책로는 이지점에서 약 40분이면 금평교까지 갈수있지마는
오늘은 버스가 이곳까지 마중나와있어 이곳에서 산행을 마치고 .
하산주을 하고 일찍 귀가하였다.
오늘산행기록
12
'산행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곡 말하는 은행나무 -대흥사- 비룡산- 서학산 -각산마을 원점 (0) | 2025.05.07 |
---|---|
강원특별자치도 낙산사 - 설악산 케이블카 ( 푸른산악회 1박2일 2일차 ) (1) | 2025.05.03 |
구미 낙동강물길따라 문화생태탐방로 ( 1구간 나루터로 ) (1) | 2025.04.23 |
경남 통영 사량도 옥녀봉 - 가마봉 출렁다리 답사 ( 대구 OK산악회) (0) | 2025.04.17 |
완도 보길도 섬산행 1박 2일 후기 2 부 ( 한백 산악회 ) (2)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