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날 : 2025 . 4. 5 - 6 일 ( 1박 2일 ) , 첫째 주 토요일 - 일요일
날씨 : 토요일 오전 이슬비 / 오후 개임 , 일요일 맑음
간곳 : 전남 완도군 보길도 1박2일 섬산행 2일차
위치 : 전남 완도군 보길면 에송리 산 63
참가인원 : 한백 산악회 회원 35 명

교통 : 전세버스 ( 손상배, 뉴 한국여행사 경북75 바 5301)
기획 , 유인철대장 ,
일정 : 4월 5일 1일차
06 :00 대구 출발 , 10: 00 완도 화홍포항 도착 . 10: 40 화홍포 출발 ,
11: 30 노화도 동천항 도착/ 우리 버스로 예송리로 이동 ,
12: 10 보길도 예송리 해변 / 격자봉 자락길 ( 예송리- 보옥리 공룡알 해변
어부사시사 평상길 6.4km 4 시간) , 16: 10 보옥리 공룡알펜선횟집 숙소배정 .
저녁 회정식 이후 자유시간
4월 6일 2일차
05: 50 새벽등산 / 보죽산 . 06: 30 일출 ,
07: 00분 아침 식사 / 전복 죽 , 07:40 숙소 출발 - 08: 00 망끝전망대
08: 30 보길 윤선도원림/ 세연정주차장 - 부황리 윤선도 유적지 문화탐방
09: 20 부황저수지까지 왕복 10: 30 노화도항 11: 20 노화도 출항 .
12:00 완도 화홍포항 도착 / 완도읍이동 점심 /오삼불고기정식 / 하산주
20:00 대구도착

2일차 보죽산 - 부항천변 윤선도 길 문화탑방
보죽산 - 공룡알펜선 아침 - 망끝 전망대 - 부항리 세연정 주차장 - 윤선도 원림 -
부용리 - 동천석실입구 - 부항저수지 빽 -동천석실입구

보길도 (甫吉島)
전남 완도군에 속한 섬으로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하나이며 완도읍에서
남서쪽으로 32km 떨어져 있으며 해남반도 땅 끝에서는 남으로 12km 떨어져 있다.
보길도에는 격자봉(格子峰431.1m)이 있고, 산자락에 고산 윤선도( 尹善道 15871671)의
유적지가 있다. 적자봉(赤紫峰)이라고도 하는 격자봉은 보길도 한 중심에 자리하고
있는 보길도의 상징적인 산이다.
보옥리는 ‘공룡알 해변’으로 불리는데 공룡알처럼 생긴 돌들로 이루어진
해안이다. 예송리와 보옥리는외해에 접해 있어 역빈 해안 발달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부항리에는 세연정, 부용정, 곡수당, 낙천대 등
고산 윤선도가 직접 조영한 ‘고산 윤선도 유적들이 많은곳이다.
대구 한백산악회 4월 정기 산행 은 1박 2 일 특별산행으로 전남 완도군 보길도
섬 산행을 하기로하고 접근거리가 멀어 배시간을 마추기위해 새벽 5시 모두
움직여야하는데 버스와 지하철이 운행전이라 모두 가까운 탑승지로
택시을 이용해야하였지마는 지각은 한사람도 없었다.
토요일 아침 6시에 대구을 출발하여 차안에서 김밥으로 아침을 먹고
어둠을 뚫고 달리는 우리 산악회 전용버스는 한두번 휴게소에 들린후
완도 화홍포선착장에 10시 넘어도착한다.
1부에서 계속됩니다.
2일차 새벽 5시에기상하여 날이 밝기을 기다려 숙소바로옆에있는
보죽산 아침 등산을 시작한다.

등산로입구에 등산지도가있지마는 탈색되어 하나도 보이지 않는다.
정비가 필요하다.

그냥 앞에 봉을보고 길따라올라가는데 산길은 좋은 편이다.

처음에는 키가큰 동백숲이 빼곡하게 자라고있는 터널같은 숲길을 오르니 조망이트이면서
데크계단이 시작된다.

정상부에는 바위봉을 올려다보고

보옥리마을에서 보며는가운데 잘린듯한절벽 바위 아래에 도착하고

동쪽이 밝아오기시작한다.

산아래 보옥리는 그냥 평화로운 섬마을이다.

어제 예송리에서 넘어온 산자락위로 뜨오르는 일출

역광이지마는 셀카로인증도하고

어제와달리 오늘은 날이 좋을듯하다.

산아래 공룡알 해변

아침 햇살을받은 돌탑들과

건너 망월봉이 보죽산과 마주보고있다.

잠시 숲길을 오르니 작은 돌탑들이 있는

돌들이 많은 보죽산 정상

보죽산 197m
윤선도의 유적지가 많은 보길도 남서쪽 끝의 보옥리에는 뾰족산 또는 보죽산이라는
이름의 봉우리가있다.
마치 소뿔을 잘라 놓은 것 같다 해서 뾰족산이라 부르는데 뾰족한 산의 형세를
제대로 보려면 보옥리로 들어서기 전 망끝전망대에서 바라보아야 한다고한다.

산의 정상에서는 맑은 날이면 한라산까지도 보인다고한다.
정상어디에도 정상석은 보이지 않고 준,희님의 표시판이 걸려있다.

셀카로 정상인증을하고

아침 7시에 숙소에서 아침을 먹는다고하여 빠르게 내려간다.

건너 망월봉에도 아침햇살을 받고있다.

보죽산 정상을 바라보고

보죽산 답사궤적

숙소에서 마지막 식사 아침은 전복죽으로 하고 1박을한 공룡알팬션을나와

보옥리을 떠나면서 2일째 여정에 들어간다.

버스로 이동중에 도로변 정자쉼터에서 기념찰영도하고
한백 핫이팅 ~~

그다음 망끝전망대에서도

단체 기념찰영을 한다.

추억만들기

박보규 산대장 부부

구미 삼우산악회회장과 한백 권미경 총무

오선주 형제들

안인수 회장

이배원 직전회장과 필자 / 산새

보길 영문 포토죤에서

다시 버스로 세연정 주차장에도착
완도나 해남 땅끝에서 오는 배를 타고 내리게 되는 청별포구에서 부용동을 향해
약 30분 정도 오면 고산이 '어부사시사'를 창작했다는 세연정(洗然亭)이 나온다.
개울을 막아 만든 연못인 세연지에는 1992년 복원한 정자가 세연정이다. .

세연정(洗然亭)
1637년 고산이 보길도에 들어와 부용동을 발견했을때 지은 정자라고알려져 있으며
세연(洗然)이란 '주변경관이 물에 씻은듯 깨끗하고 단정하여 기분이 상쾌해지는
곳'이라는 뜻이다.
세연정 답사을 하기위해 매표소로가니

9시부터 문을 연다고하여

세연정은 입장료을 내고들어가야하는곳이다.
성인 3,000원 , 단체 2,500원

30분이상 기다릴수없어 세연정 답사을 포기하고

고산 윤선도 유적지 길 문화탐방 트레킹을 하기로한다.

바닥에도 새빨간 동백의 봉우리들이 즐비하게 떨어져 있다.
이정희 전총무

백경자여사 하트 날리고

박보규 산대장 부인 손명순

도로옆 데크로드 탐방로 가 잘되어있다.

우측에 산중턱에 하얀바위는

동천석실

당겨보니 정자들이보이고

보길도에서 윤석도 유적지는 부용동과 세연정, 낙서재, 곡수당, 동천석실등이 있다.

적자봉 아랫마을 부용동 이곳에는 동천석실과 낙서재를
둘러보는 것이 좋다.

부용동 마을입구 삼거리 고산이 은거했던 낙서재의 터가있다,


동천석실입구
다리를 건너 오솔길을 따라 20분가량 오르면 동천석실이 나온다


오늘 필자는 동천석실 탑방은 생략하고 부항 저수지 방향으로 올라간다.
도로따라올라가며는 부항저수지 둑아래 보길 수원지관리소가 있고

부항저수지 또는 보길저수지라고도하는데 보길도 상수원 수원지이며
가운데 잘룩이가 뽀래기재이며 그 넘어가 보옥리이다.

저수지 뒷능선이 격자봉 능선
이곳 저수지에서 하산시간때문에 뒤돌아 내려가는데

동천석실 입구 맞은편에 낙서재 입구가있고
낙서재 돌담길 산책로이다.

하산시간때문에 세원정 주차장까지 내려가지않고
버스을 동천석실입구로 불려서 여기서 문화탐방을 모두마친다.

버스로 노화도 동천항 선착장으로 출발한다.


노화도 동천항 선착장도착
선착장에서 바로연결되는 노화도 트레킹코스도 살펴보고

트레킹코스 이정표

숲길 입구

선박 운항 시간표.
10월 11월 12월 1월 2월
소안도에서 | 노화도(동천)에서 | 완도 (화흥포)에서 |
출발시간 | 출발시간 동시 20분 |
출발시간 동시 20분 |
7:00 | 20분 | 50분 |
8:00 | 20분 | 50분 |
9:00 | 20분 | 50분 |
10:00 | 20분 | 50분 |
11:00 | 20분 | 50분 |
12:00 | 20분 | 50분 |
13:00 | 20분 | 50분 |
14:00 | 20분 | 50분 |
15:00 | 20분 | 50분 |
16:00 | 20분 | 50분 |
17:10 | 20분 | 50분 |
19:50 | 20:00 | 21:00 |
동천항 마을 버스정류장
버스요금은 무료이다.

구도을 연결하는 다리을 놓았는데 섬값보다도 교량공사비가
돈이 더 많이들어갔을것같다.

10: 50 노화도 동천항을 뜨나면서
동천항 모습

완도 홍화도항에도착하여

완도읍으로 이동하여

완도항 에서 점심을 먹고

완도항 구경을하고



남파랑길 완도 87코스

완도을 출발 순천 완주고속도로 황천 휴게소에서 하산주을 하고
대구로 귀가하였다.

20;00 넘어 대구에 도착하면서 완도 보길도 1박 2일 섬산행을 모두마친다 .
'산행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도 보길도 섬산행 1박2일 1 부 ( 한백 산악회 ) (2) | 2025.04.10 |
---|---|
칠곡 팔거천변길 걷기 ( 팔달교에서 칠곡 운암교 -매천 수산시장 ) (0) | 2025.04.03 |
경산 밤골산 - 반곡지 ( 왕버드나무 반영 사진명소 ) (0) | 2025.03.31 |
영암 월출산 산성대 - 천황사종주산행 ( 남구 푸른 산악회 ) (0) | 2025.03.27 |
고령군 성산면 산책로 - 깃대봉 답사산행 ( 칠봉지맥 구간 접속 )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