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새의 하루
좋은 하루되십시요

산행후기

합천 미숭산 ( 관창봉 -미숭산성- 미숭사 ( 야로초등학교 코스)

산새1 2018. 8. 15. 11:12
반응형
SMALL

 

간날 : 2018. 8.  12.    일요일. 날씨 : 흐림

간곳 :  합천  관창봉 - 미숭산 - 미숭산성 .

 

위치 : 경남  합천군  야로면 

 


 

 

참가인원 :     

대구 근교산 답사  회원 5 명 '

송강/ 이두용 선배님 . 산꾼/허용원 선배님 , 대산 / 박영식 대장 ,

송형익교수 . 필자 / 산새

 

 

교통 : 승용 1대 

 

찾아간길 :

대구- 광주 대구간 고속도로 -해인사 IC / 야로 -야로 하빈리 - 야로초등학교  

 

네비  : 야로초등학교  (경남 합천군 야로면 하빈리 )

          합천종합야영수련원( 경남 합천군 야로면 하빈리 3

산행코스 :  

 야로초등학교 - 호랑이 쉼터 - 관창봉 - 485봉- 야로초교 갈림길 -   미숭산 -

734.3봉 - 미숭산성 -  귀원 갈림길 -  경남 학생 수련장 - 미숭사 -  

하빈2리 웃터 마을 (산행거리 8.5km  산행시간 4시간 . 총소요시간 5시간  ;

 

 

산(山) 소개   

미숭산(美崇山)  

경남합천경북 고령군 경계에있는 미숭산은 

옛 이름 상원산(上元山)에서 미숭산(美崇山)으로 부르게된것은

고려  말 위화도에서 요동정벌를 위해 진군하던중 회군하여 정몽주 선생 참살 후

고려 왕조의 충신,왕족을 무참히 살해하고,  혈육마저 정치 권력을 위해 제거한

조선(朝鮮) 이성계의 반란군에 끝까지 맞서다 순절한 안동장군 이미숭

지조와 얼이 살아있는 역사의 산이.

 

미숭산성

정상 주변에는 미숭산성의 성문과 길이 1.45㎞의 성터가 남아 있는데,

삼국시대에 축조되어 조선시대까지 이용되었다고 한다.

1960년대에 갑검릉(甲劍陵)이 발굴되어 갑옷·철궁·창·고려자기 등이 출토됐다

 

관창봉 / 관모봉   410.8m

미숭산  서남 방향으로 가지를 친 능선상에 봉우리로  정수리에는

삼각점이있고 등산로 입구 등산로 안내도에는  관모봉이라 포기하고있다.

 

 미숭사

대한 불교조계종 해인사 보현암 소속으로

경남 합천군 야로면 미숭산 중턱에 있는 비구니 사찰이다,

 

둘째주 대구근교산 답사팀은 미숭산 합천 야로초등학교코스을

산행하기위하여  안지랑역에서  08:00에 출발하여  산행깃점

합천군 야로면 하빈리 야로초등학교 정문에 09:00안되어 도착한다.

 

 

09: 45  차는 오늘 하산지점  하빈2리 상대 / 웃터마을로 올려 보내고

 

학교 정문으로 들어가  좌측 울타리따라 돌아가며는

 

 

건물끝에 산으로 올라가는  입구가 보인다.

 

 

등산로 지도와   등산로입구

 

 

미숭산 등산로  안내판

 

 

아침에 내린 비로  등산로 숲풀에 물기가 많아  스틱으로 털면서 

통나무 바닥계단을 올라가니  

 

 

뒤돌아본 하빈리와  보이는 교회는 야로초교  정문앞이고 등산 출발지점이다.

 

 

 이렇게 좋은 능선길

 

 

첫 갈림길

좌측이 매촌마을에서 올라오는 길이고

 

 

우측은 야로초교 끝지점 에서 올라오는 길이또하나있다.

 

 

등산로 좌측으로 목책에 로프 안전시설를 지나

 

 

계속되는 바닥 통나무 계단을 올라가니

 

 

거북이 쉼터지점

 

 

학교에서 500m지점

처음에는 몸풀기 운동으로 천천히 가라는 뚯이듯하다.

 

 

약간 오르막을 오르니

 

 

토끼 코스

 

 

이제  몸도 풀리고 능선길도 좋으니 토끼같이 뛰어도 될듯하다는 뚯 같고

 

 

능선을 가다보며는 벤치 쉼터는  

 

 

800m 지점 사슴 쉼터이다.

 

 

 고도를 높이는  곳곳에  통나무계단을 해놓았고

 

 

나무가지에 비 물과  거미줄이 가는길을 성 가시게 한다.

 

 

오르막 하나을 더올라가니

 

 

사자 쉼터

 

 

1380 m 올라온지점

 

 

앞에 높은 봉을 한번더  올라가니

 

 

09: 25  호랑이쉼터 / 갈림길

하빈2리 상대마을  당산나무에서 올라오는 길과 합류하여   

 

 

국제신문 답사코스가 시작되고

 

 

 호랑이쉼터  표시판이   부서져 조각이 있는 곳에서

 

 

차량 이동으로 이곳으로 올라오는  5명 모두 모여   잠시휴식하다가

 

 

호랑이 쉼터를 지나니, 걷기좋은 울창한 소나무숲 따라 잠시  내려서고

 

 

갈림길 주의

왼쪽으로 좋은 길은 묘지가는 길이고  우측으로 돌아가며는 

앞에 능선으로 올라가며는

 

 

관창봉밑 갈림길

왼쪽 관창봉은 같다  오기로하고 희미한길   숲풀을해치고 올라가니

 

 

09: 45  관창봉  / 관모봉  410.8m  

미숭산  서남 방향으로 가지를 친 능선상에 봉우리로  정수리에는

삼각점이있고 등산로 입구 등산로 안내도에는  관모봉이라 포기하고있다.

 

  

삼각점 합천416, 411.2m 이 있는 관창봉은   숲속이라 조망을 전혀안된다.

 

 

 

선답자들의 시그널옆에 같이 산행하는  박영식대장 표시기

산이조치요 하나 걸고  

 

 

관창봉에서

산이조치요   대산 /박영식 대장

 

 

송형익 교수

 

 

필자 / 산새

 

 

10: 00   매촌 갈림길

관창봉에서  조금 뒤돌아와서 미숭산 방향으로 가며는

처음 만나는 이정표  야로초등학교 2.4km

 

 

키큰  소나무 숲길 능선을 가다가 

 

 

오후에 비가온다던 날씨가  이슬비가 내리기시작하여  배남커버를 하고  

 

 

10: 25  웃터와 중나대  갈림길

이정표  수정할곳

야로초등학교 2.5km는   조금전에 거리 2.4km사이   GPS확인결과 0.1km아니고 

1km 거리 차이가난다. 

 

 

이런 바위도지나고  오르막을  올라가니

 

 

전망대  

전망바위 위로 올라가보니

 

 

미숭산 정상이  구름속에 바라보이고  

 

 

전망바위에서 미숭산 우측으로 보이는   안부는 나상현이고

그뒤봉이 문수봉이다.  

 

485m 봉에서 능선으로  조금 가며는

 

 

합천종합야영수련원 갈림길 

야로초등학교 4km - 정상0.7km - 합천종합야영수련원

 

 

부처님을 닮았다는 미륵바위

 

 

산길은 미숭산 정상아래 암봉을 우측으로   돌아 간다. 

 

 

 미숭산성 안으로 들어가며는

 

 

억새사이로  산성을 지나 쓰러진 소나무와 이정표있는 능선으로 나가며는 .

 

 

야로초교 갈림길 / 주산가는 주능선을 만나고

 

 

미숭산성 성벽위로  정상 100m 을보고  조금 나가니 

 

 

11: 30  미숭산  755m

달각 바위라는 큰 바위와  대형 정상석에 산불감시 초소가

자리하고 있는 미숭산 정상이다

 .

 

 

합천에서 세운 정상석   

정상석 아래부분에   陜川郡 글자아래 高靈郡 글자를 다시 각인해놓았다.

합천군과 고령군 군계에 미숭산을  두 군에서 합동으로 관리하는 것이

백번  맞다고 생각한다.

 

 

 

2015년 6월에 답사한 정상석 에는 합천군 으로만 되어있다.

 

 

정상석에는 해발 733.5m 라고되어있는데 

지리원 지도에는 미숭산 정상이  757m 로 되어있다.

 

733.5m 는  고령 주산방향으로 500m지점  삼각점이있는

봉우리을  주봉을 하는듯하다

 

 

 

 

 미숭산은 고려 말 이성계에게 끝까지 저항하여 지조를 지킨 안동장군

이미숭이 근거지로 삼은 곳이다. 이성계가 왕위에 오른 뒤 불러 청하였으나,

이에 불복하고 성을 쌓고 군사를 훈련시켜 대항했다. 그러나 결국

뜻을 이루지 못한 장군은 절벽에서 몸을 던져 순절했다고한다.

.

 

 

미숭산에서 조망

가야산  남산제일봉  매화산  오도산  비계산 들이 잘 조망되는 데

오늘 구름속에 희미하게  바라보이고

  

 

 

 

미숭산 정상에서 조금 일찍 중식시간

점심은 모두 행동식으로 이선배님만 도시락이고  송교수 . 떡 .허선배님은 ,빵.

박대장 . 고구마., 필자는  감자 3개 로  점심해결을 하고 하산을 한다.

  

 

합천종합야영수련원 하산길을 지나, 미숭산성따라  

 

 

신리임도1km, 미숭산정상0.5km - 주산정상6.0km, 청금정3.2km,

반룡사2.7km, 용리(상용마을)1.9km

미숭산 고령 정상에는 높이 733.5m와  이정표  주산까지  6 km  표시

 

 

고령방향으로만   상세한 위성지도

 

 

12: 25    733.5 m 봉

삼각점이있는 봉우리로  정상석서있는 미숭산 정상보다는 조금 낮다.

 

 

734.3m 봉은 미숭산성이 돌아가는 미숭산성 끝봉으로

삼각점(합천22, 733.9m)이 있다.

 

 

단체 기념찰영을 하고

 

 

다시 미숭산 정상방행으로  조금 뒤돌아가는 길에

지난번에 답사한  귀원리 10.4km표시가있다.

 

 

합천종합야영수련원 갈림길로 되돌아와  하산하는길에 .

고사리가 엄청 많은 헬기장을 지나고

 

 

미숭산성 내의 집터 흔적들

 

 

 

12: 40    미숭산성 (美崇山城) 남문

미숭산성은 경남 기념물 제67호로 성의 둘레는 1325m 이다.

 

 

미숭산성 안내도

자연지세를 최대한 이용해 8부 능선을 따라 축조된 포곡식 산성의

미숭산성은 산성내에 동문, 서문, 남문이 있고 왜구의 침입 때는 인

근 주민들의 피난처와 봉수대 통신대로 이용 되었다고한다

 

 

잘보존된 미숭산성

 

 

 

산성을 지나  잘정비된 등산로을 따라 내려간다.

 

 

등산로는 합천종합야영수련원이 있어 걷기좋은 산사면길이 이어진다.

 

 

우측으로목책에 로프를 한 팬스를 지나고

 

 

하산길 중간에 이정표시목을 두어개 지나고

 

 

미숭산과 귀원리코스  등산로와 접선하였다가 다시 해여지고

통나무 바닥계단을 내려가며는

 

 

청소년 수련원  400m 지점을 지나  이런  쉼터 의자도 지나고

 

 

 통나무 계단을 지나 내려가며는 ,

 

 

길가운데 홈통 수로 길를 내려가며는 

 

 

앞에 도로를 만나고  청소년 수련원 건물들이 보인다.

 

 

미숭산 등산로가있고

 

 

 호연지기 표석이 서 있는 합천종합야영수련원

 

 

경남 합천  청소년 종합  수련장  

 

 

내려온 미숭산을바라보고  사워장에서  사워를 하고

 

 

수련원 입구를 지나

 

 

도로따라 내려가며는

 

 

 미숭사 입구 

 미숭사를 둘러보고 오기로하고  

 

 

13: 45   미숭사 

대한 불교조계종 해인사 보현암 소속으로

경남 합천군 야로면 미숭산 중턱에 있는 비구니 사찰이다,

 

현대식 건물의  대웅전

 

 약사여래불과 마애불이 있는 미숭사

 

미숭사  주지 선욱 스님

주지스님  사찰에  유래을 듣고   냉커피와 보리차

감사했습니다.

 

 

 미숭사 에서 도로따라 내려가 

하빈2리 상대마을  당산나무옆에 도착  오늘 산행을 마친다.

 

 

 14: 10   하빈2리 당산나무뒤로 산길입구다.

 

 

오늘 산행기록을 확인한

 

고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