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새의 하루
좋은 하루되십시요

산행후기

완주 천등산 (天燈山) 산행기 ( 우정산악회 )

산새1 2014. 7. 16. 05:28
반응형
SMALL

           평촌에서 바라보는 운무속에 천등산

 

간날 : 2014. 7. 13. 둘째 일요일.   날씨 : 아침에 비 오후 개임 

간곳 : 천등산 ( 天燈山) 707m

위치 : 전남 완주군 운주면 장선리/ 산북리

참가인원 : 대구우정산악회 회원 47명

 

찾아간길 :

경부고속도로-비봉분기점- 대전통영고속도로-추부 IC -배티재- 원장선마을 

네비케이션 : 천등산 (전북 완주군 운주면 장선리) 

 

산행코스 :

원장선-뫼골-빈덕바위-첨봉-감투봉-천등산정상-능선갈림길-평촌

  

일 정 : 07: 30 (대구 출발) 10: 30 (운주면 원장선도착) 등산시작

11: 25 (빈덕바위) 11:40 (첨봉) 12: 00 (감투봉)

12: 30 ( 천등산 정상) 13: 20 (하산시작) 13; 25 ( 능선 갈림길)

15: 25 하산( 소나무숲속 야영장 ) 16:00 천등산휴게소

17: 00 (평촌 출발 ) 20: 00( 대구도착)

 

산(山)소개 :

대둔산 그늘에 가려 숨어있었던 보석같은산 천등산.

울고넘은 제천 박달재 천등산은 알아도 완주의 천등산은 찾는사람이 별로없다.

대둔산 도립공원에속해져있는 천등산은 대둔산의 아름다움을 한눈에 볼수있는 전망대이며

부드러운 육산과 정상부근의 암봉과 암능 기암 괴석들 옥계천과 용계천의 둘려쌓인

아름다운 조망은 어느 큰산에 못지않게 모든것을 고루갖춘 명산이다.

 

견현이 나라를 세우기위해 이곳에 숨어있을적에 한밤중에 적군이 처들어오는것을

연못에 용이 닭울음소리를내어 일어나 물리치고 견현이 진주성을 칠때 산신령이

등불을 밝혀주어 승리하여 후백제를건국하였다하여 천등산이라 한다고한다

 

그래서 이산에는 용과 닭의 관련된 지명이 많다. 대둔산과 천등산이 경계로되어있는

17번 국도와 나란히 흐르는 옥계(鷄)천. 원장선에서 장선리까지 지명중에 용계천(龍鷄川).

용계성(龍鷄城). 용계재(龍鷄재).용계원(龍鷄園) 모두가 용이 닭소리를 내었다는 전설과

무관하지 않은것같다.

 

07;30 대구를 출발하여  칠곡휴게소에서 아침을먹고  대둔산과 천등산 경계에있는

배티재휴게소에서 잠시휴식 한다.   

 

배티재 휴게소 대둔산 능선 등산로입구가보이고 다시 차량으로 약 10분거리을 이동하여

.

 10: 30  산행깃점 원장선마을앞 정자앞에도착 등산준비를하고 

역순팀을태운 버스는 하산지점 평촌마을로  보내고

 

 

좌측으로 천등산을 바라보고 정자 건너편 골목으로 들어간다.

 

마을 안으로 포장길을따라 조금 들어가며는

 

포장이끝나는 마지막집에서 우측으로 농로길따라 들어간다.

 

본격적인 산길로 들어서기전에 종주팀들 기념찰영을하고

 

선답자들의 많은 흔적을이 보이고

 

묘지앞으로 돌아 나간다.

 

지워져버려 글씨가 보이지는 않지만 등산로 방향표시이다.

 

이렇게 좋은 산길로가다가 신앙터 갈림길에서 좌으로  방향을 잡고 

 

 

차츰 곧를 높이면  경사가 심한오르막이 시작된다. 

 오늘30도가 넘는 더위와 아침에 내린비에 습도가 많아 처음부터  땀을 많이  흘리면서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진다.  .

 

이장해간 묘지터도 지나고  우측허리를 돌아 산길은 작은 지능선에 도착

 

전망바위

 

바로아래로  운주면 소재지방향 17번 국도에서 완장선 들어오는 삼거리을 확인해보고

 

지나온 배티재 방향

 

아래 암벽구간은  우측으로 우회하는 안정한 길도있다

 

군데 군데 전망바위가있어  쉬어가기좋다.

 

묘지1기를지나  첫암봉에 올라서며는

 

11: 40 첨봉 520봉

 처음 만나는 봉우리 520고지을지나  비스듬한 봉우리 능선길이다.

 

앞에보이는  감투봉과  뒤쪽천등산 정상이 보이고   

 

찍사들이 좋아하는 고사목을지나  잠시내려선다.

 

 밧줄을 잡고 내려가는길 

 

안부

우측으로  금당리 등하산길이있다.

 

 감투봉 올라가는길에는 이런 암벽을  

 

 

우측으로 돌아 올라가는길

 

 

자연석 계단길도올라가고

 

감투봉 도착 배지를 받고  

.

12:00 . 감투봉 660 M봉

바위봉우리로 아무런 표시도없고 잠시 쉬어 가는곳이다,

 

 

바로앞에 정상이보이고 좌측 중턱에 석굴도내려다보이는  전망대이다.

 

마지막  저봉우리을 올라가는길은 앞에 작을 바위봉을 좌측으로우회하여 올라간다.

 

좌측으로 하산길로 착각할정도로 내려가다가

 

다시 올라가는길

 

12: 10 , 석굴 갈림길 안부

지나온 감투봉과 660봉 중간 석굴로 하산하는길

 

뒤돌아본 감투봉

 

줌으로 당겨본모습 

감투봉 에서 암벽사이로  내려오는  산객들

 

디딤돌같은 바위 능선도  지나고

 

건너 구름속에  선녀봉과 남선녀봉  써래봉이 조망되고

 

천등산 배지도착하고

  

 

12: 30  천등산 정상  706.9m

돌탑이있는 정상에는   정상석 2개와  알미늄 정상표시기둥  

구조번호 02- 16 표시목 이서있다.

 

대리석  정상석

전주 천등산악회에서 2007년 9월 30일 설치

 

또다른  아담한 정상 표시석

2011년 10월 3일 양심회복동지일동

 

 

정상에서 인증삿

좌에서 이권대  선두대장 .  김태수 고문님 .  이재곤 소장 .  김병환 우정산악회 회장 . 

문희용 사진 기자.   이은주님  필자  산새/ 우종희

  

 

좌에서  블랙야크 대구서부점  임효재대표 .  소나무 /강동철 전속 사진기자.

남구푸른 산악회 조홍래 대장

 

고산 /  송창섭님

 

후미담당  유인철한백산악회 산대장 . 정재식 전 교장

 

13: 20, 정상에서 점심을먹고 하산을 한다.

  

 

하산길에  대설대 /산죽을지나

 

 괴목동천과  대둔산이 잘보이는 전망바위에서  선두팀들 흔적을 남겨놓고  

 

13: 50  광두소와 고산골 갈림길

좌측 광두소 마을 방향은 석굴과 옥계천 보 로하산하는 능선길이기도하다. 

 

고산촌방향 이정표시목

 

 후미를 위해  블랙야크 리본과  우정산악회 산행안내지로 이렇게 유도표시를 해놓고

잠시내려서며는

 

14: 00  암벽구간

우측 평촌 고산촌 하산길에 10m 이상 밧줄구간이있어 노약자나 어린이들이

있을시는 등산코스를 변경하는것이 좋을것 같습디다

 

비가와서  바위가 미끄럽고  등산화 바닥에  흙이끼어  조심해서 내려간다.

 

그러나 산행을 조금만 해본사람이라면 크게 걱정 안해도되는 암벽이다.

 

하산길 우측으로 하산코스가 하나더있지만 역시 밧줄을 타야하고 

 두코스어디로 내려오던지 만만하지 않드군요

 

하산지점 우측에 고산촌 좌측에 평촌을 내려다보고

 

큰 기암을  우로돌아가기도하고

 

 돌너덜길에서 앞사람만보고 내려가다가  우측으로 돌아가는 길을 놓쳐 

 다시올라오는 약간의 알바를 한다.

 

14: 35  너덜길 중간에서  우측으로 가야하는데

 

 지루한 너덜길이 끝이나고   이런 기암도지나고

 

비스듬히 서있는 바위을 고정할려는 작난기넘치는  바침작대기들앞에서 손으로

 바위를 밀면서  회원들이 통과하기까지 서있는 소나무 / 강동철  익살꾼 

 

하산길에 마지막  휴식을 하고

 

15: 10  고산촌과 평촌 갈림길 가기전  첫번째 좌측으로 나무토막을 막아놓은 

 좌측길로 내려간다.

 

15: 25  하산지점이 소나무 숲속 야영장으로 내려서는데 

 

게곡이 깊고 좋아 물놀이하고있는 피서객들과  등산복입고  수영도하고

 

 

족구장과 주차장 넓은 장소는  개인 땅으로 사용료를 받고있다.

 

 

16: 00 옥게천 보를 건너  도로따라 조금가니  천등 휴게소앞에 우리차가대기하고있다.

 

16: 20  차를타고 장소를 조금 이동하여 도로변 잔듸밭에서 하산주를하고

 

17:00  천등 유원지를 출발하여 

대구에 20: 50 도착  오늘의 행사를 모두 마치면서    

천등산  단지 산행코스가 짧은것이 흠이지만 친목을 겸한 일반산악회의

 부담없는 산행지로 산행후 자유시간이 ㅁ낳아 좋고   등산길 중가중간의 절벽구간에는

 안전시설이 조금미비하여 주의가 필요한곳도 있지만 크게 위험하지는 않다..

 

산행기록

고도

 

산행궤적

산행기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