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새의 하루
좋은 하루되십시요

산행후기

팔공산 둘레길 3 .4 구간 (왕건길 3 코스 ) 트레킹

산새1 2019. 7. 4. 06:55
반응형
SMALL



간날 : 2019.  6.  30.  다섯째 일요일.   날씨 : 맑음 / 미세먼지 없음

간곳 :  팔공산 둘레길  3 ~ 4 구간    / 왕건길  3구간      




위치 :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



참가인원: 대구번개산행팀 7 명

좌에서  김태수 고문님,  허정화님,   정재식님. 송강 /이두용님  ,  

소나무/ 강동철 아우 .  문희용님 .

사진 찰영  (필자 /산새 )



팔공산 둘레길

대구 동구, 경산시, 영천시, 군위군, 칠곡군 등 5개 시··구가

포함된1에서 16구간으로  총연장 108km



왕건길 8구간



산행코스

미곡버스 정류장 - 용수동 당산 - 부남교 - 부남재 - 내동마을 -

내동임도 -하늘다리 - 열재 -대구염색박물관 - 노태우 전대통령생가 왕복 -

용진마을  버스 정류장

( 산행거리 11  km 산행시간 5시간20 분 .총소요시간 6 시간 )



팔공산 둘레길 

팔공산의 둘레를 따라 팔공산권 지역의 역사·문화를 체험하고 경관을 즐기며

건강을 증진하는 숲길이며, 자연공원이 포함된 생태·문화적 가치 보전과

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해 조성한 숲길이다.

팔공산 둘레에는 산자락을 따라 조성된 둘레길과  올레길  왕건길이

조성되어있다.


팔공산 둘레길  3 ,4 구간

3구간의 들머리는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에 위치한 부남교이며  

이번 구간은 팔공산 둘레길 16구간중 가장 짧은 구간으로  내동마을까지이고

거리는1.34km이고 4구간은 내동마을에서  덕곡 삼거리까지 6km정도되고 

접속구간거리 모두 10km 정도된다.   



대구 근교 번개산행팀 6월 30일 마지막 5주  

팔공산  둘레길중 2.3구간 산행을 하기위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기로하고  

남구 봉덕교회앞에서 9시 401번 버스를타고 대구 동구 공산면 백운삼거리 가기전  

미곡동 버스 정류소에  10시에 도착한다




10: 05   용수동 마을  독불사 방향으로 들어간다.



대구 올래  3코스 부인사  도보길로

미곡마을 3코스 시작지점 부남교 까지는 약 2km 이다.



공산땜 상부지역 좌측 계곡은  상수도 보호구역이라 철망 팬스를 처 놓았다.



조금 올라가니  도로가 좁아지고



중심제 와 독불사 갈림길도지나



용수교를 지나며는  



달마사 사찰 옆으로해서



용수동 당산



당산의 유래을보며는

배씨(裵氏)구씨(具氏)가 마을 입구에 나무를 심고 돌을 쌓아 제사를 지내기

시작한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용수동입구  표시석

지금까지는 팔공산 둘레길 3구간 접속 도로 코스이고





10: 55  부남교

여기서 부터 팔공산 둘레길 3코스와  왕건길2코스 시작지점이다.  







팔공산 왕건길 2구간 종점이자 3구간 묵연체험길 시작



부남교앞에  팔공산 둘레길 안내도



팔공 1번 버스 정류소 이기도하다.



부남교를 건너 우측 마을 골목으로 올라가며는



마을을 벗어나 




왕건 길  갈림길



팔공산 둘레길과 왕건길이  겹치는 구간이다.



좌측으로 마지막  민가를 지나고



팔공산 둘레길과  왕건길 표시기들



농로 갈림길

바로가는길은  농로길이고 좌측으로 희미한  숲길로 가야한다.



좌측 숲속에  왕건길 표시기



삼마산 숲길을 따라  언덕하나를 올라가니

부남교 0.84km 삼마산 숲길 0.50km 내동마을 이정표



부남고개 / 내동고개

왕건길과  둘레길 갈림길로 건길은 거저산을 넘어가고

둘레길은  내동마을로 내려간다.



부남교에서 출발하여 0.84km 진행하면 삼마산 숲길에 도착하는데

옛날 영천, 청통 사람들은 한양으로 과거 보러갈 때 이용 하였으며,

칠곡, 문경으로 통하는 지름길이기도 한 고개이다.



부남 내동고개에서 내동마을로 조금내려가며는




3 구간 날머리까지는 0.5km 내리막길을 내려가며는

대구광역시 동구 구암길 48에 위치한 내동마을에 도착하게 된다.

 


어느 재실같은 집인데 사람이 거주하고있는듯하고 

개들이 요란스럽게 짖고있다.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팔공 터널 가는 길이고

이곳에서 팔공산 둘레길 3코스는 끝이나고 4코스 시작지점이다.  



3코스 산행기록이다.



11: 40   팔공산 둘레길 4코스

둘레길은 농로따라 우측으로  올라가야한다.




좌측에 규모가큰 양봉농가을 지나



농로길따라 올라가며는  오늘 4코스가 시작된다.



좌측에 어곡 가족묘원을 지나  


내동 저수지

문화유씨  세장지 표석이있고  좌측 못뚝으로 지나간다.




못뚝끝에 팔공산 둘레길 안내판



내동 임도로 가는길에  바이케이트는 차량통행을 막는곳이다.



조금 올라가다가   잠시휴식을 한다.



임도따라 계속가며는



임도가 우측으로 돌아가는 지점에 운동시설과






전망대가  있다.






전망대 









전망대에서 점심을 먹고 임도따라 조금 내려가니





우측으로 내동고개에서  해여진 거저산을지나 내려오는 왕건길과 만나고






임도따라 조금 더내려가니



왕건길과 둘레길 갈림길

바로 내려가는  임도가 노태우 전대통령생가로가는 둘레길이고 

좌측 산길이  하늘다리로해서 열재로가는 왕건길이다.  




 우리는 왕건길로 올라갔는데 둘레길코스는   우측 임도로 내려갔다가

노태우 생가로해서 다시 열재로 올라 덕곡삼거리로가는 코스가  정코스이다.




하늘다리을 지나서




하늘다리는 

옥정동  내동에서  용진리 신룡동 으로  넘어가는  농로길위로 놓인  목교이다.  .



하늘다리에서 앞에 봉우리 올라가는데  통나무 바닥 게단이있는  오르막이다.




작은 봉하나를  넘어 조금 내려가며는 열재에 도착한다.



14: 00   열재

이 고개는 신라 시대부터 영천에서 미대동-열재-기성동을 거쳐 군위로 이어지는

교통 요충지여서 열 사람이 다닐 수 있을 만큼 넓었다고 열재로 부른다는 설과

또 한편으로 열재 근처에는 산도적이 자주 나타나므로 열 명 이상 모여서

 이 고개를 넘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온다고한다.



열재는  왕건길과  팔공산 둘레길이 만나지는곳이다.  

왕건길 코스 안내석



열재 유래 에는   

험한 산세로 주위의 짐승이나 산적의 공격을 막아내고자 10명 이상이

모여 고개를 넘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열재 이정표시목




열재에서  용진동 노태우 전대통령 생가 방향으로 내려간다.



조금내려가며는  



임도 삼거리 

철문이 닫혀있는것을보며는  개인 사유지인모양이다 

철문 좌우측으로 나갈수있다.




용진 마을로 내려서며는








작은 다리를 건너



14: 20    도로 삼거리에서



노태우 전 대통령 생가를 갔다오기로하고



하늘다리에서 임도따라 내려오며는 만나지는 둘레길 









용진마을회관

용진마을은 노태우 전대통령 생가 마을로 탐방객들에게  

대문 앞에  팔려고 내놓은 복숭아



노태우 전대통령 생가입구



14: 45   노태우 전 대통령  생가



문화관광 해설사가 상시 대기하고



노태우 동상



노태우 전대통령 생가 





팔공산 기를 받아  대통령이 된 생가는 문화적 가치가있는곳으로

보존가치가있는듯하다.   




용진마을에서 다시 뒤돌아내려온다



15: 05  대구 천연 염색 박물관






15: 30  용진마을 버스 정류소 에도착하여














 

 대창상회 에서  시원한 맥주로 몸의 열기을 식히고 

10분 간격으로 다니는  401번 버스 타며는 된다.





오늘 팔공산 둘레길 3. 4구간 트레킹 을 마치면서  팔공산 둘레에  왕건길과

둘레길 이 서로 다르다.  두코스가 겹치기도하고  해여지기를 여러번하는데

대체로  왕건길은  산봉으리를 오르내리는  산길코스이고  둘레길은

기존 임도와 농로길을  많이 이용하여  조성되어있다.

다음  5.6코스를 기대하면서  대구로 돌아와  칠성시장에서 

한잔 더하고 귀가하였다.


오늘 답사한 둘레길 트레킹 기록을 확인한다.

팔공산 둘레길  3. 4 코스 중

4코스  기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