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두봉에서 바라보는 구봉산
간 날 : 2014. 8. 16. 셋째 토요일 날씨 : 흐림
간 곳 : 운장산( 雲長山) 1125.9m - 구봉산 (九峰山)1002 m
위 치 : 전북 진안군 주천면 대불리 / 완주군 동상면
참가인원 : 대구블랙야크서부점 산악회 회원 25 명
찾아가는길 : 대구에서 -
88 고속도로 -함안분기점 -대전 통영고속도로 - 익산포항고속도로
소양나들목 - 13번국도 금산방면-55번국도 -주천면 - 운일암
반일암계곡 - 대불리 - 피암목재 (동상고개 휴게소)
네비케이션 : 피암목재 (전북 진안군 주천면 대불리 )
운장산 (전북 진안군 주천면 대불리 )
구봉산 (전북 진안군 주천면 운봉리 )
산행코스
피암목재-활목재- 칠성대(서봉)-운장산-동봉(삼장봉)-각우목재-곰직이산 -
복두봉- 구봉산- 8~2봉 -상양명주차장 (총거리 : 14.1km 산행시간 7시간)
구간별 소요시간 :
07: 00 (대구출발 ) 07:50 (거창휴게소 아침)
10:20 동상휴게소(피암목재) 등산시작 10: 40 휴식
11: 05 (활목재 ) 11; 30 서봉(칠성대 ) 11; 50 중봉( 운장대 )
12: 15 동봉 ( 삼장봉 ) 12: 20 (내처서동갈림길)
12:55 임도 / 각우목재 (점심) 13: 20 구룡산방향 등산 시작
13:50 곰넘이산 14: 00 헬기장 14: 20 임도 (정자 )
14: 40 복두봉 15: 45 구봉산 17: 20 상양명 주차장 /하산주
18: 00 (주차장주차장) 20: 30( 대구도착)
산(山)소개:
운장산 (雲長山)은
금남정맥의 최고봉으로 동봉·중봉·서봉의 3개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봉이 운장대로 최고봉이다.
산이름은 원래 주줄산이 하였으나 선조 19년 성리학자 송익필이 은거하면서
그의 운장(雲長)이란 자를따서 운장산이라 고처부르게 되었다고도하고
산정상부에 늘 구름에 가리워진 시간이 길다 해서 운장산이라고 한다고도한다,.
구봉산( 九峰山)는
운장산의 한줄기로 북동쪽으로 뾰족하게 솟구친 아홉개의 봉우리들이
우뚝 서 있는 산이 구봉산이다.
정상 동쪽에 8개의 암봉은 8폭 병풍을 펼친듯하고
구봉산의 최고봉 9봉 에서는 호남의 유명한 산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같은 산이다.
블랙야크 100명산도전 대구서부점 산악회에서는 진안의 운장산과 구봉산
1일 2산 인증을하기위하여 07:00 대구를 출발하여 88고속도로 거창휴게소에서
아침을 해결하고 오늘의 등산깃점 피암목재 /동상휴게소에
10:10쯤 도착한다.
10: 20 피암목재 (동상 휴게소)
진안 주천면 대불리와 완주군 동상면 경계 고개마루
큰주차장은 조용하고 옛 동상휴게소 건물 지금은 느린 마늘 양조장이란
간판의 달고있다.
등산로입구에는 등산지도와 입산금지기간 안내표시판이 서있고
이정표시에는 운장산 서봉 2.1km 운장대는 2.7km 을 표시하고있다
출발전 단체 사진을 찍고 계단길을 따라 올라간다.
능선으로 올라서며는 좌측으로 55번 도로가 꾸불꾸불 피암목재로 올라가는길과
좌측 아래로는 독자동계곡이 내려다보인다.
오늘도 선두에는 박이환 부대장이 서고 능선길과 잠시 급경사 오르막을 올라가야한다.
20여분 숨가뿌게 올라가며는 약 820m 지점에서부터 산길은 능선으로 이어지는듯하다가
철책기둥에 밧줄을 매어 안전시설이되어있는 돌산길오르막을 올라
암능 구간을 통과해야한다.
암봉을 넘어 다시 조금 내려가니까
등산로 우측에 묘 좌측에 비석이서있는묘1기를 지나며는
독자동 갈림길을 만나고
11: 05 독자동 갈림길
독자봉 1.6km 운장대 1.2km 오늘 가야할 구봉산 9.4km 이다.
여기부터 정상까지는 급경사 오르막으로 운장산등산시 최고의 힘드는코스이다
오름길중간에 서봉을 거치지않고 연석산 우회길에서 잠시휴식을하고
통나무계단 급경사오르막을 한참을 올라가며는 연석산 종주능선을 만나고
우측 바로앞에 서봉표석이 암봉위에 뽀쪽하게 보인다.
11: 30 칠성봉 / 서봉 1120m
진안군과 완주군 경계로 운장산 3개봉우리중 서쪽에있다고 서봉이라하고
우측끝에 암봉을 오성대라고도한다.
서봉에서 흔적을 남기고
서남방향으로 금남정맥이 지나오는 연석산 구름속이라 희미하다.
가야할 앞에 암봉
앞에 운장산 정상 운장대을 바라보고
서봉에서 조금 뒤돌아와서 운장대 600m 와 구봉산 8.8km 거리를 확인한다. .
암봉내려가는 철계단
운장대가는 능선
운장대 전망바위
우측로 우회하는 길도있지만 바로넘어가는길은없다.
능선에 기암 상여바위
운장대까지 능선구간은 산죽사이로 해치면서 가야한다.
잠시 능선을타고가다보며 큰암봉이 앞을 가로막는데
좌측으로 돌아 암봉위로 올라서며는 운장산 배지를 받고
이동통신 안태나 철망울타리에 산악회 홍보표시기들이 도배를하여 성황당같은 느낌이다.
운장산 / 운장대 1126m
대 삼각점이있는 정상 운장대 표석앞에서 블랙야크 100명산 인증삿
박이환 부대장
필자 산새/우종희도 인증삿
정상의 조망은 지나온 서봉이 저만치보이고
정상에서 잠시휴식을한후 다음 동봉 삼장봉 600m 을보고 출발한다.
능선길에 성터 흔적을 지나
우측으로 대불리 깊은 계곡
능선길에 우측에 전망대는 가보는곳
암봉을 올라서며는
12: 20 동봉 / 삼장봉 1133m
높이는 운장대보다 조금 더높지만 정상대접을 받지못한다.
선두에서 같이 동행하는 산꾼 허용원 선배님
가야할 능선을바라보고
동봉에서 조금내려서니
12: 20 내 처사동 첫번째 갈림길
동네 산악회에서 많이 이용하는 능선하산코스이다.
구봉산 방향은 잘 정비된 우측 나무계단을 따라내려간다.
가지많은 소나무도지나고
밧줄잡고 내려가기도하고
나무계단과
통바닥계단을 내려가며는 저아래 임도가보이고
먼저내려간 박이환대장이 기다리고있다.
12: 55 임도 / 각우목재 842m
진안군 정천면 가리점과 완주군 주천면 대불리 내처사동 넘어다니는 고개마루
정천면 가리점방향임도는 상수도 보호 통제구역
내처사동방향 임도에서 점심을먹고
13: 30 박대장은 임도따라 내 처사마을로 하산을하고 후미팀들이 모두하산한곳
임도 건너 구봉산 방향으로 선두 3명이 먼저 출발한다.
산행지도를 확인하고
운장산과 구봉산은 이정표와 안내도가 상당히 잘되어 있다
통나무모양의 프라스틱 계단길을 올라간다.
오늘 산행중 이곳에서 곰직이산 까지가 가장 힘든는코스 중에 하나
정천면 가리점방향 임도 가 뱀처럼 꾸불꾸불 게곡으로 내려간다.
큰바위를 우측으로 돌아
묘지가있는 봉우리에 올라선다.
곰직이산 배지가 도착한다.
13: 50 곰직이산 1081m
아무런 표시가없는 정수리
오늘 가야할 능선이 희미하게 보인다.
또 한참을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가야하는모양이다.
우측능선으로 돌아아가며는
묘지 1기를 지나고
외처사동 갈림길
곰직이산에서 처사동 큰골로하산하는 갈림길이하나있다.
우측으로 계단을 내려가며는
14: 00 헬기장
하산길에는 가지많은 소나무가 참많다.
코팅지에 이런표시가 자주보이는것은 등산로 정비공사시 사용한
골사 구간표시 흔적같다.
밴치가있는 쉼터을지나고
명덕봉 갈림능선에 도착한다.
갈림길을 지나 다시능선길을 가다보며는
정자가보이고
14: 20 두번째 임도
한쪽은 장천면 운장산 자연휴양림방향이고 반대편은 완주군 주천면 방향이다.
임도개설비가서있고
복두봉방향으로 등산지도와 등산 거리 안내도을보고
이제부터는 운장산 휴양림에서 관리하는모양 거리표시을보니
암봉을 올라서니 복두봉 배지가도착하고
밴치위로 복두봉 정상
뒤돌아본 운장산 자연휴양림 방향 임도 와 앞에 잣나무 조립지
14: 40 복두봉(卜頭峰) 1012m
복건을 하고 부복하여 구봉산을 바라보는 형상
복두봉 정상은
운장~구봉산 능선길에서 한가운데 위치하여 최고의 조망처 로 꼽히는 곳으로
사통팔달 막힘 없은 조망이 좋은 곳이지만 오늘은 날씨가흐려 아쉬운이 많다. .
정상에 설치되어있는 조망판으로 만족해야하고
조망핀 1
조망판 2
구봉산 정상과 좌측으로 8봉 - 1봉 능선암봉을 바라보고
지나온 능선도 돌아보고
구봉산 방향으로 다시 출발한다.
묘지를 지나 한참을 내려간다. 내려간만큼 다시 올라가야한다는 부담때문에
안부 893m
1012고지에서 내려온길 만큼 다시 올라가야한다.
이제 구봉산 정상까지 계속 계단길 이제 마지막 체력과의 싸움이다.
있는힘을다해 올라간다.
능선에 올라서며는 정상까지 100m 정상갔다가 이곳으로 하산할 지점이다.
구봉산 정상 배지를 받고
15: 45 구봉산 (九峰山) 천왕봉 1002m
모든산행지도와 구 정상석에는 천황봉 또는 장군봉 이라고표기하고있는데
산아래 천황사가있는것을보며는 천황봉이 맞을듯한데
봉우리이름을 개명한것인지 아니며는 잘못표기한것인지 설명이필요하다.
새로 설치한 정상석 앞에서
위에서 내려다보는 구봉산 1봉에서 8봉 모습
구봉산은 기암괴석의 바위산으로 남쪽의 천황사 쪽에서 바라보면
뾰족하게 솟아있는 아홉개의 봉우리가 뚜렷하여 구봉산이라 부른다고 한다.
주차장이보이고 동쪽으로 용담호가 희미하게보인다.
바로아래에는 연화저수지가 내려다보인다.
하산은 바람재로하기로 하였지만 하산시간이 비슷할것같아 8봉능선으로 하산하기로하고
8봉쪽 하산길은 처음부터 급경사 내리막길
잘 정비한 나무계단을 내려가고
등산로 정비하기전에 옛 계단길 지난해만해도 저 철계단으로 올라갔는데
입장료도 안받으면서 많은 투자를하였군요
돈내미재 / 칼크미재
천황암방향 하산길로 까다로운 암봉을 넘지않고 게곡으로 하산길이다.
내 사전에는 중도하산은 없다 8봉방향으로 올라간다.
뒤돌아봉 9봉 구봉산 정상 모습
8봉과 7봉을 잇어주는 구름다리
구봉산의 새로운 명물이다.
잘정비해논 등산로 덕에 시간과 체력소모에 큰도움이된다.
8봉에서 내려오는 나무태크 등산로
7봉아래 옛날 직각 철계단
7봉
6봉
5봉
3봉
4봉에 팔각정자
2봉
1봉모습
중간코스로 하산하여 구봉산 주차장으로 이동하여 하산주를하면서
임대장 . 박대장 . 강기자 연속으로 전화가 오기시작하여
주차장방향으로 빠른 걸음으로 하산을한다.
17: 20 구봉산 윗양명 주차장에도착
하산주를하면서 반기는회원님들 고맙고 감사합니다.
시원한 맥주로 몸의 열기를식히고
18:00 주차장을 출발하여 연휴 차량 정체로
20:30 대구에 도착하면서 오늘 일정을 마감합니다.
오늘의 산행기록
궤적
'산행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도 - 흑산도 관광 / 산행기 2부 흑산도 (한백산악회) (0) | 2014.09.03 |
---|---|
천안 / 아산 광덕산 (廣德山) 산행기 ( 대구산악회 ) (0) | 2014.08.26 |
연풍 깃대봉 -용성골- 문경석탄박물관 답사후기 (우정산악회) (0) | 2014.08.13 |
봉화 / 영월. 구룡산 (九龍山) 우중 산행기 ( 한백산악회 ) (0) | 2014.08.05 |
함양 황석산 - 황석산성 [黃石山城]산행기 (대구산악회) (0) | 2014.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