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새의 하루
좋은 하루되십시요

산행후기

충주 / 제천 북바위산 산행기 (우정산악회)

산새1 2014. 6. 10. 07:38
반응형
SMALL

 

간날 ; 2014. 6. 8. 둘째 일요일     날씨 :  흐림 오후개임

간곳 ; 북바위 772 m

위치 :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 제천 한수면

 

참가인원 :우정산악회회원 48명

 

 

 

 

 

 

찾아간길 : 대구에서  -

경부고속도로 -  중부내륙고속도로 - 문경새재 IC - 이화령터널  -  

      송계계곡 -  물래방아휴게소

네비케이션 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미륵송계로 125

                    (물래방아휴게소 043)  651- 2073)

산행코스 :

송계계곡 물레방아휴게소→ 북바위전망대→ 북바위산 정상(772m)→

사시리고개 - 사시리골 - 물래방아 휴게소(8.0km 산행시간 5시간)

 

 

 

 

 

 

 일정 :

 07 ;30 (대구출발)    09: 00 (선산휴게소아침)

 10: 20 (물래방아 휴게소 등산시작)  10: 30 등산시작

 10; 50 ( 쉼터 휴식 ) 11: 10 북바위전망대. 11;40( 대슬림)

 12: 35( 북바위봉정상 / 점심)  13: 35 하산시작

 14: 00 (사시리고개 )    15: 00 ( 송계계곡 )           

 15: 30( 물래방아휴게소 주차장 /하산주)  

 16: 40 ( 북바위산출발)     19:: 30 (대구도착)


산(山) 소개

북바위산은 월악산 국립공원내에 월악산에서 남쪽 만수봉까지 이어지는

암릉서쪽에 송계계곡이 자리하고 있는데 송계계곡 중간쯤인 팔랑소에서

서쪽으로 솟아있는 산으로 비록 높지는 않으나 기암절벽을 거느리고 있어

아기자기한 스릴을 느끼면서 산행할 수 있는 산이다.

 

북바위산이라는 산이름은 지릅재에서 북쪽에 위치한 바위산이라는

이유도 있지만 주민들에 의하면 이 산자락에 타악기인 북(鼓)을 닮은 거대한

기암이 있어 북바위산이라한다고 한다.

 

10:20  물래방아휴게소앞 북바위산 주차장에서 등산준비를하여

 

 

 

 

단체사진을찍고 

국립공원직원  산행시  주의사항  설명듣고

입산시간과 계곡 출입금지구역 에대하여 설명하는중

 

10: 30 등산을 시작한다.

 

 

물래방아휴게소산장식당 우측으로 탐방로 안내표시따라가며된다. 

좌측마당을거처 야영장끝쪽은 계곡코스이고 오늘 하산로이다.

 

가물어 물이없어 서 있는 물래방아

 

 화장실앞으로해서 우측으로 돌아가며는

 

 블랙야크 대구서부점  임효재 대표 앞장서고  

 

입산시간제한 안내문과  탐방자 자동 체크기를 통과하여  

 

 통나무계단을 올라가며는

 

 구조번호 06-10부터 시작한다,

 

 이어지는 급경사 계단을 올라

 

10: 50  쉼터에서 잠시휴식

 

10: 55    GPS 기록은 출발 25분후부터 기록이다.  

 

통나무계단으로조금만 더 올라가며는

 

10: 50  전망대

동신계곡건너 용마봉배경으로      한백산악회 유인철대장과 백경사 여사.

 

 

송계계곡건너  월악산의 여러봉우리들이 운무속에 펼처진다.   

 

잠시 숨고르는 능선을 가다보며는    

 

11: 10  북바위 전망대 에도착 

 

이산 이름이있게한 북바위

 

 잠시 휴식하면서 북바위을 찰영하는 이두용선배님

정상 2.2km 전 철계단 아래 해발 480m  이정목이서있다.

 

 철계단

  

좌측으로 천길  비스덤한 슬랩암반

 

 암반을올라 후미를 기다리는 이재권 소장

 

 고사목 뒤로보이는 박쥐봉

 

 

멀리뽀쪽한봉이 신선봉이고  가운데 잘룩한곳이 오늘 하산할 사시리고개이다.

 

 

 잠시 이렇게 좋은소나무 길로가다가

 

11: 40  대슬립암반

 

 

크게 미끄럽지는 않지만 눈 이나 비가올적에는  조심해야할 구간

바로앞에 정상이보이지만은 우측으로 크게 돌아가야하기에 한참을 가야한다.  

 

신선대 / 노송지대 암봉 652m

좌측우회길도있고 바로 능선는 암능길로 가며는

가운데 쪼개진 틈 뛰어넘기가 아주애매하다.  사람들이 겁을먹는 넓이로 

노약자는 좌측으로 우회하는것이 좋다.  

 

암능끝에서  내려서는데도 상당히 조심해야한다.

 

목조 계단을  내려가며는

 

노송지대 암능길

 바위사이사이로 돌고돌아

 

 다시 계단을 내려선다.

 

 바위에 뿌리를박는 소나무의 생명력에 놀라고

 

 정상까지 500m 을남겨놓고

 

 마지막 목조계단을 올라간다.

 

뒤돌아본 올라온  바위능선

 

정상도착 배지를 받고  

 

 

 

드디어 북바위산 정상이다.

 

12: 35  북바위산  772m

정상에는 근래 새로설치한 정상석이 자리하고

 

 이정표시목에도 북바위산 정상이란  패말이 붙어있다. 

  물래방아 3km  뫼악동 1.9km

 

새로바뀐 정상표시석

 

추억속으로사라진 (구)정상석

 

 정상에서 기념찰영

좌에서 석윤암님 .  문희용님 . 임효재님 . 이권대님 . 김태수님 .  필자/ 산새우종희

 

좌에서 박옥균님 , 이종길님 . 김병환 회장

 

 이재권 소장

 

이두용선배님

 

정재식 전직 교장님

 

이종익님

 

  

 

 정상에서 점심을 먹고  

 

13: 35  하산은 뫼악동 방향으로 

 

 

 하산길은 올라온 암능과 반대로 부드러운 육산으로 이렇게좋다.

 

하산길 길가운데  삼각점 에 발도장을 찍고

정상에서 찾아도 없던 삼각점이 하산길 중턱에 아마이곳이 측량 기준이 되는듯하다.

 

하산길에  임효재 대장

 

14: 00  사시리고개 520m

뫼악동과 송계계곡 넘나드는 임도고개마루

 

 고개에는 콘태이너박스 가 있고 지금도 관리하고있는 밭이있다.

건너보이는 우측으로 계단이 뫼악동 등/하산길이고

박쥐봉은 좌측 사시리계곡으로 가는길로 조금가다가

 

 

뫼악동  임도따라 넘어가다가 

 

 박쥐봉은 철문앞에서 좌측으로  올라가며된다.

 

철문에 붙어있는 표시들 (뫼악동 방향에서 )

 

입산시간 제한

 

 

철문이 닫혀있다.

 

 뫼악동방향 임도

 

이정표시목

 

  사시리골로 내려가는회원들

 

 사시리계곡하산로는 처음에는    임도 따라

 

하산길에  바라보이는 북바위산 정상

 

 

 임도에서 바라보는  북바위산 바위능선

 

임도 갈림길에서 좌측길로 내려간다 

 

임도에서 좌측산길로 내려서고  

 

 좌측 북바위능선과  건너 월악산이 마지막 조망되기도하고 

 

박쥐봉쪽에서 바라보는 북바위산

 

 임도끝지점에서 계곡길로 내려선다

 

 

 가물어 물이없는  사시리 암반계곡을 한참내려가니

 

 15: 00  송계계곡

오늘 흘린땀과먼지를 씼고

 

주차장부근 계곡의 우리회원들이 보이고  

 

 

 

물래방아 야영장도착 

  

 

산행후 야영장에서  족구를하는  능소 산악회 회원들

 

 

 

주차장 도착   

 

 

15: 30  하산주

오늘 도랑조들  분위기 좋습니다.    

 

16:40 북바위산을 출발하여  이화령휴게소 , 선산휴게소에 쉬어가면서

19: 30 대구에 도착합니다.

 

오늘 산행기록을  확인하고

해발 200 여m 이상에서출발 400m 지점에서 기록시작

출발 25분후부터 기록한 궤적

 

산행거리 약 8km  산행시간 5시간 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