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날 : 2025. 3. 16 . 셋째 토요일 , 날씨 : 흐림 / 비
간곳 : 칠곡 유적지 박집산 봉수대 ( 朴執山烽燧臺 ) 해발350M
위치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무림리 산44-1 일대
교통 : 대중교통 열차 ( 대경선 - 성주버스)
참가인원 : 근교산 산행팀 7명
유인철 대장 . 김태수고문님. 허정화님. 백경자님. 문희용님 .
들국화 . 필자 /산새 ,

.


답사코스 :
남계1리 버스정류장 - 약목 SK주유소 - 남계저수지 옆길 - 농로길 - 상당교
호맘지 갈림길 - 초롱산책로 - 상당골 - 남계산책로 2 - 상강대 안부 -
우측두만저수지 좌측능선 합류 - 한전철탑 1 - 비룡산 갈림길삼거리 - 배석이/봉화대방향 하산-
394m / 상당골 갈림길 - 박진산 / 봉수대 - 101지방도 - 배석이재 - 배석마을 -
도로 - 문바위고개 - 남계저수지 - 약목 읍사무소
(산행거리 8.5 km 산행시간 3시간 )

칠곡 박집산 / 박집산 봉수대 유지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과 약목면 경계에 있는 조선시대 봉수대 터.
약목면 관호리에서 관호산에서 배석재을지나 비룡산가기전 중간지점에
해발 347.7m의 박집산이 나오고 봉수대는 산의 정상에 위치해있다.
박집산 봉수대까지 산길이 잘개발 되어 있는 이유는 산악자전거 MTB대회장
비룡싱글 타누스관호파크장이 있기때문이기도하다.
산맥은 백두대간 초점산에서 분기한 가야기맥이 수도산 서봉에서 북쪽으로 가야금오지맥을
분기하여 흐르다가 김천시 남면 송곡리에서 부상리를 넘는 4번국도 고갯마루인
부상고개 서남측 2.5km 지점에서 동남방향으로 가야금오영암분맥이 분기하여 영암산
선석산 을 지나 칠곡군 약목면, 기산면, 성주군 월항면의 삼면지점인 등고선상 550m
지점에서 가야금오영암분맥은 서남방향으로 월항면과 기산면의 경계를
따라가고 한줄기를 동쪽으로 분기하여 약목면과 기산면의 경계를 따라간다
3월 3주 일요일 대구근교산 산행은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약목면 두만저수지 와
남계저수지둘레길을 산책 하기위해 대구역에서 09: 30분모여 경산- 구미간
광역철도 대경선 기차을타고 10시 30 왜관역에도착한다.
왜관역 도착

역앞에서 출발전 기념찰영을 하고

약목으로 가는 구미 11번 버스을 타고

약목 남계1리 버스 정류소에하차하여

sk주유소쪽으로 조금 뒤돌아 가며는

우측으로 새 도로따라

약목 시묘산도 바라보이고

신도로따라 쭉 올라가며는

우측에 두만천변 좌측길로

멀리 두만 저수지뒤 삿갓같은 비룡산

우측 상당교로 두만천을 건너며는 두만지아래 신유공원으로 가는길이고
두만지 초롱길산책로이기도하다.

필자는 두만저수지코스는 지난번 답사한지라 혼자서 좌측 비포장길로
비룡산방향으로 바로 올라간다.

호암지 갈림길
두만지 초롱길산책로가 이곳으로 지나간다.

올라온길도 초룡 산책로길이다.

우측산쪽으로 올라가니

초롱산책로 반환점으로 올라온길과 두만지로 돌아간다.

카페와 식당들이보이는 삼거리에 이정표가서있는데
산악자전거길 남계쉼터 1.6km 방향으로 오른다.

식당 입간판을지나 수례길을지나 마지막 농막에서 우측산밑으로오르니

포장임도을 만나는데 반대편에서 넘어오는 길

두만지뒤로 올라오는 상강대 안부 능선

두만지 우측 능선으로 올라오는길 지난번 오른길 이고
바로넘어가며는 상강대을지나 두만 저수지로 넘어가는 길이다.

산수유가 피기시작하고

묘지들이 많은 좌측 산길이 비룡산 등산로이다.

이정표에
비룡산 1,810m , 두만지 800m
여기서부터는 24년 2월 비룡산 산행시 답사코스이다,

조성한지 등산로 오래된 통나무계단을 오른다.

올라온길 뒤돌아보고

좌측으로 오늘 내려가야할 능선이 길게 바라보이고

앞에 봉을 오르며는

산길은 이렇게 좋다.

좌측에 한전철탑 1 이있는곳에 조망이좋다.

소나무가 많은 능선으로 가며는

한전 표시기

오후부터 온다는비가 곧 올듯하여 마음이 급해진다.

바로 건너에 비룡산 가까이보이지마는 얼마전에 답사하였고 본부팀과
남계저수지에서 만남시간때문에 오늘은 바라보기만하고

앞에 봉에 올라서니

비룡지맥 주능선 삼거리
이정표 남계리 / 두만지1.3km 배시기1,66km 봉수대 1.45 km
비룡산 0. 86km


선답자들 표시기

이곳에서 인증을하고

배시기 방향 봉수대방향으로 하산을 한다.

능선따라 내려가며는

두번째 철탑을 지나고

국가지점번호을 달고있는 한전 철탑

소나무숲을 지나내려가니

우측으로 칠곡군 기산면이내려다보이고

삼거리봉에 도착하는데

안면있는 표시기

이렇게 좋은 산책로는 산악자전거길이고 박집산정상이다.

맷돼지 퇘치용 깡통도 달려있고

이정표
이정목에 "비룡산 2.2 km 우측에 박집산봉수대터
내려갈 101번도로 0.7km

박집산350 m
옛날 봉수대대 터가 있고 정상과 봉수대터를 알리는 표석이 있다.
이 봉수대는 남쪽 4KM 지점 봉화산 봉수대에서 신호를 받아 다시금 북쪽으로 보내는
봉수대 터 이다. 제법 넓어며 지금은 그곳을 알리는 표식만이 남아 있다.

박집산 봉수는 조선시대 봉수대 터로 남으로 10리 떨어진 경상북도 성주의
각산리 봉수대로부터 받은 신호를 낙동강을 건너서 있는 인동 건대산 봉수대로
소식을 전해주는 역할을 하였다고한다.

박집산 봉수대터 박집산 봉수대 터

봉수대 터는 장방형에 가까운 타원형인데 석심토축(石芯土築)을 바탕으로 하여,
위쪽에는 토축으로 만들어져 있다.
박집산 봉수대터 표시석


뒷면에는 바르게살기운동 약목면 협의회일동의
안네글이 적혀있지마는 글씨는 잘보이않는다.

봉수대에서 인증을 남기고

봉수대에서 바라보는 비룡사 꼭대기가 약간보이고

능선으로 내려가니

산악자전거 길따라

나무가지사이로 반대편 시묘산이 바라보인다.

좌측으로 돌아내려가니

아래도로가보이고
101번 지방도에 내려선다.

칠곡 비룡타누스 파크장
산악자전거 MTB대회 가 자주열리는 장소이다.

도로따라 좌측으로 조금 내려가니

오늘 내려온길을 뒤돌아보며

배석인증을해본다.

배식재 삼거리
백석재 이곳이 배서기란곳인데 무림리의 자연마을 로 옛날 기산면의 각산, 봉산, 평복의
주민들이 약목시장, 약목면사무소, 약목초등학교를 다니는 주요 통로로 이용되었다
비가오는데도 산불감시 차량이 지나가면서 인사을 한다.

백석재 고갯마루 봉산1길 삼거리 도로 건너 바로산으로 오르는길은
관호산 방향 등산로 입구

기산면 방향도로

배석재 이정표
혜원성모3, 870m 삼주아파트4,490m 비룡산2,520m
비가오면서 바람이불고 갑자기 추워지기시작하여 빠르게 도로따라 내려가면서
좌측으로 보이는 박집산 봉수대 봉

당겨본 박집산 봉수대 봉우리

남계지 저수지에도착
두만천(豆滿川)의 남쪽에 위치하여 남계(南溪)라고 불렀다.

24년 2월 답사한곳이라 둘레길은 생략한다.

동영상

어린이 놀이터와 우측에 주차장이있다.

남계지에서 바라보는 가운데 비룡산 우측이 선석산

우측이 시묘산

약목읍사무소앞으로 이동하여 해물탕집에서 하산주을 하고 귀가햐였다.




12
'산행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암 월출산 산성대 - 천황사종주산행 ( 남구 푸른 산악회 ) (0) | 2025.03.27 |
---|---|
고령군 성산면 산책로 - 깃대봉 답사산행 ( 칠봉지맥 구간 접속 ) (0) | 2025.03.25 |
25,을사년 시산제 , 포항 월포해수욕장, 월현산 ( 한백 산악회 ) (1) | 2025.03.05 |
25, 을사년 시산제 사천 와룡산 용두공원 ( 성산 산악회 ) (0) | 2025.03.03 |
25, 을사년 시산제 구례 사성암 - 오산 산행 ( 남구 푸른산악회 )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