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새의 하루
좋은 하루되십시요

산행후기

박태산 - 매봉산 - 거매리 원점 산행 ( 경북 군위 )

산새1 2019. 3. 18. 19:16
반응형
SMALL


간 날 ;  2019. 3. 17.  셋째 일요일.    날씨 :  맑음 / 미세먼지 약간  

간 곳 :  군위/박태산(451.6m)-매봉산(489.7m)

 

위 치 ;  경북 군위군 효령면  거매리

 

 


참가인원 :   대산 / 박영식 대장 . 송강 / 이두용 선배님.  필자/ 산새 

 

 

네비케이션 :  거매리  ( 경북 군위군  호령면 거매리 )

교통 : 12인승 / 박영식대장  (주) 

 

산행코스 : 거매리 버스정류장- 축사 민가 - 박태산 정상- 임도안부 -산불감시무인카메라

-매봉산 정상-임도- 거매리 -919번지방도-거매리버스정류장

(산행거리 7.8 km  산행시간 3시간 40분)

 

오록스맵 첫 작품

 

산(山)소개 :

박태산 (451.6m)삼국유사의 고장 군위군 효령면과 우보면 경게산으로

해동지도에는 박타산(博陀山), 박달사(朴達寺)'라는 사찰 이름도 확인할 수있고

조선시대엔 '박달산(朴達山)'이라고 하였고, ‘박달산 봉수(熢燧)’라는

기록도 나온다고하고 박태산은 여기에서 생겨난 이름으로 보인다한다.

이산자락에  거매리 거매동(巨梅洞)은 매봉산 밑이 되므로

거매라 하였다.’라고 되어있다.

 

매봉산 (489.7m)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 거매리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489.7m이다.

전국적으로 매봉산이라는 이름은  수없이 많지마는 대부분

매봉(또는 응봉)은 날으는 매 모습으로  바위봉이지만 군위 매봉산은

수리과의 날짐승이 아닌 '매화 매()'자를 쓰고 있어 다른 매봉과 다르.

이 산자락엔 거매리(巨梅里)와 금매리(錦梅里), 신매실 등

매화와 관련된 지명이 여럿 보인다

 

셋째주 번개산행 군위에있는 박태산과 매봉산을 산행하기위하여

박대장 산행전용  12인승 버스를 타고 08: 00  대구를 출발하여 산행깃점

군위군 효령면 거매리 마을입구에  09: 00 조금 안되어 도착하여

거매리 버스 정류장옆에 도로변에 주차를 한다.

 

 

군위 효령 삼거리에서  부계면 지나 영천으로 가는 919번 지방도 

거매리 버스정류장옆 가변 차선 도로변에 주차를 하고

 

 

 

오늘 산행할 박태산과  좌측으로  매봉산가는 산을 처다보고

우측으로해서 좌측으로 한 바퀴 돌아오는 원점 산행이다.

 

 

 

거매리 교차로에서 여림실  박태산 트레킹코스 방향으로  

 

 

 

수정암1.5km 표시판옆에

 

 

 

거매리 여림실 마을입구 표시석 을 지나

 

 

 

마을길로 들어가니  앞에 보이는 우측  작은 다리를 건너

 

 

 

 민가골목으로  올라가는데 

 

 

 

 

 우측에 시그널이하나보여  이곳으로 치고오를까 두리번 거리고있는데  

 소를 사육하는 축사 주인아주머니가   자기집앞 골목옆으로 가며는

길이좋다고 가르켜준다.

 

 

 

일손이모자라는 농촌  할머니 엄마 일을 도와주고있는  쌍둥이와

동생 삼형제 가 손수래를  밀고다니고있다.   

 

 

 

 

 

축사 우측으로 수래길을 따라 올라가며는

 

 

 

이렇게 좋은 길은

 

 

 

 묘지 관리 길이고 이후부터  길이 좋지않다.

 

 

 

묘지를 지나서 산길이시작되는곳에서부터  

박대장 표시기하나걸고   흔적을 남겨놓는다

 

 

 

 

좌측으로  매봉산  무인카메라 봉과 매봉산 정상이 

형제같이 바라보인다

 

 

 

묵은 임도을 가로질려 올라가는데

 

 

 

 

 

 선답사한 서울 도요새 / 이근진님의 표시기가 보인다.

 

 

 

산길은 가시덩굴이 길을 막을때에는  박대장이 전지 가위로 

잔가지를 자르면서  앞으로 진행한다.

 

 

 

능선길에  제법 큰터 묘지에서

 

 

 

휴식을하면서 이선배님이 갖고온 계란을 하나씩 먹고

 

 

 

다시 출발하여  앞에 무명봉을 우측으로 우회하다가 다시  

 

 

 

좌측으로 잠시치고 오르니  선답자들 표시기가 많이 달려있는

박태산 정상이다.

 

 

 

10: 30   박태산 451.6m

잡목이 우겨진 정수리에는  정상표시는 없고  선답자들 표시기가

많이 달려있다.

 

 

 

산이조치요 박대장 표시기 도 걸고

 

 

 

인증삿

 

 

 

필자 / 산새

 

 

 

이두용 선배님

 

 

 

박태산에서  내리막 비탈길을 내려가니 새로 지은  정자쉼터가 있고

 

 

 

임도 고개 안부

효령면 거매리와 우보면 봉사리을  넘어다니는  임도 마루

 

 

 

고개마루 임도 이정표시목

 

 

 

NTB 동호인들 

이곳까지 올라올적에는 차로 자전거를 싣고와서 

 

 

 

내려갈적에 타고 내려가며서 스릴을 만끽하는 취미로 

산악자전거 와는 조금 다르다고한다.

 

동호인 단징인듯한 엠티

 

 

뒤돌아본 박태산과 임도 광장

 

 

 

임도따라 산모퉁을  돌아가며는  임도가 우측 아래로 내려가는 지점

모퉁이에서  좌측  산길 를 따라 올라간다.

 

 

 

묘지를 지나고

 

 

 

이런 좋은길로 올라가니

 

 

 

무인 카메라 봉우리  

임도는 이곳 무인 카메라를 관리하는 길로  여기까지다.

 

 

 

멀리서 보이는 매봉산  두 봉우리중  우측 봉우리이다

 

 

 

오늘 미세먼지가 없는 맑은 날씨에 파란하늘

 

 

 

능선을 따라 다음 봉우리로 가니

 

 

 

헬기장 과 그옆에 묘지 봉는 허물어지고  김해김씨

묘비는 서있다.

 

 

 

11: 10   매봉산 489.7m

삼각점이있는 옆에  선답자들 표시기가  많이 달려있다.

 

 

 

 

 

 

 

 선답자들 표시들

 

 

 

산이조치요 박대장 표시기를 걸

 

 

 

기념 찰영을 한다.

 

 

 

번개산행을 기획하고  총 지휘하는  산이조치요  대산 / 박영식대장

 

 

 

필자 / 산새

 

 

 

매봉산에서 하산길에 우측으로  효령면 방행이 조금씩 보인다.

 

 

 

건너편 군위 화산 도 희미하게 보인다.

 

 

 

효령면 오천리와 위천

 

 

 

성터같이 흩어져있는   돌들이 많이 보이고

 

 

 

한참을 내려가니

 

 

 

임도와 접선하여  바로 도로건너 산으로 붙어 내려간다.

 

 

 

낙엽이 푹신한 능선을 내려가니

 

 

 

산불난지역을 통과하고

 

 

 

오천 정씨 묘를 지나

 

 

 

내려가는 길에 우측으로 효령 농공단지와 효령면소재지가  

나무가지사이로 희미하게 보이고

 

 

 

이런 좋은 길로 계속  내려가며는

 

 

 

저묘지 앞에서   우측 시멘트 포장길을 따라 내려간다.

 

 

 

효령 농공 공단과 효령면 소재지

 

 

 

효령면 거매리 마을로 내려가서

 

 

 

919번 도로를 만나

 

 

 

삼장 매운탕 식당 옆으로 내려서서

 

 

 

도로따라가면서  오전에 올라갔던 목장 옆길과 능선을 바라보고

 

 

 

 

박태산도 바라보고

 

 

 

거매리 버스 정류장옆에  도착

 

 

 

오전 산행을 마치고 오록스맵 GPS을 정지시키고

 

 

 

오늘 처음 박대장에게 교육을 받으면서  해본 오록스 산행기록이다.

 

 

 

 

 

지도표기된  지명을 바로 잡습니다. 

지도의 매봉산이 박달산 즉 박태산이라고 생각됩니다. 매봉산은 일제 때

효령국민학교 교가에 처음 쓰이면서 잘못 붙여진 이름 같습니다.
지도의 박태산은 없애고 매봉산의 이름을 박태산으로 찾아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혹은 박태산의 매봉이라고 하면 됩니다.
그 지역 출신 친구의 얘기를 들어보면, 산 전체를 박태산이라고하고, 매봉산은

박태산의 최정상 봉우리 이름인 '매봉'을 잘못 쓴 것이랍니다.

 

글주신분 도병성 선생님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