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새의 하루
좋은 하루되십시요

대구근교산

칠곡 태복산/ 100 세공원

산새1 2011. 7. 1. 07:14
반응형
SMALL

 

 

간 날 :   2011. 6. 11.  토요일     날씨 : 맑음    

간 곳 :    칠곡 태복산 201m  - 100세공원

위 치 :   대구광역시 북구 매천동  / 경북 칠곡군 지천면

일 행 :   혼자서

 

산행코스 : 매천1동(매남) - 동네뒤골 -  갈림길(백세공원)우측으로 -

1쉼터(운동시설) - 태전동갈림길-태복산삼각점 정수리-다시제1쉼터 -

매천동갈림길 (100세공원방향)- 100세공원(삼각점)-다시매천동갈림길-

당산나무갈림길-팔달동방향-매천동방향-성심사입구 -매남 ( 2시간반 )  

                         

산(山)소개

태복산은 칠곡지역의  함지산과 명봉산에 이어  팔거천을 중심으로

대구시와 경상북도의 시/도경계산으로 대구 북구 칠곡의 서쪽의

병풍 역할을 하고 있다.

 

태전동은

일제시대에 행정구역을 조정할 때 (지당, 수평, 큰이매, 작은이매) 등의

자연부락을 합쳐 형성되고 또 연대는 알수 없으나 태복산 밑에 많은 콩밭을

이루었다고 해서 태복산의 태와 밭 전을 따서태전동이라 이름을 붙여졌다고도 하며, 혹은 콩 태자를 따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는 설도 있습니다.


매천동은

매남(梅南) 매화(梅花) 동산 남쪽에 위치한 마을, 솔내실,

또는 소라실(所羅室)이라고 하는데 마을 뒷산에 소나무가 많았다는 소나무 송(松)자와마을 앞에 흐르는 내천(川)자를 따서 송천(松川)이라고도 전한다.

매천동(梅川洞)은 매남의 매(梅)자와 솔내실의 내천(川)자를 따서 지은것으로 전한다.   (대구 북구 지명유래에서)

 

금호강 제 2 금호대교를건너  칠곡으로가다보며 좌측에  매촌 초등학교가있는

마을이 매천동 매남마을이다.  마을 가운대로 끝까지 들어가며는 

우측에 있는  서원이  매양서원이다.

매남마을은 야성송씨 (칠곡송씨) 세거지이기도하다

 

 13:30  매양서원 (梅陽 書院)

이조 선조 아헌공 송원기(宋遠器)의 위패를 모시고 불천지위(不遷之位)를

 지내고있으며 현재는 사당만 남아있고 매양서원은 1868년대원군 때

서원 철폐령에의해 현판(縣板)을 내리고 현재(現在) 사당 앞에 위치한 것이

 서원(書院)임.

 

세거지에대한 유럐 ( 사진을 클릭하며 크게볼수있음)

 매양서원 연혁

매양서원앞에 차를 주차시키고    마을뒤 농로길을따라 골짜으로 올라가보기로한다. 6월 한낮의 뜨거운 햇살이 시멘트길 바닥을 달구면서  주위에 사람한사람보이지않는다.어디로 올라가야하나 두리번거리며 계속 길따라올라간다.

 개발제한 안내문

 우측으로  농지에 비닐하우스  농막들 과수나무들 

아마도 농사가 전업이 아니고  그냥 부업으로  도시인들의  일일농장같은것 같다.

 올라가다가  갈림길 을 만나고

 좌측길은  매남 마을 당산나무가있는 고개로올라가는길  하산후에 알았고

 우측 작은 다리를 한번건너고  다시  한번더 게곡을건너서오르막길로 한침 올라가며는  농로는 끝이나고  산길로 접어든,입구에 농막 평상에서  휴식하는  주민한사람을만나  산에대한 정보를 얻어서

 13: 55  등산길입구

 등산로 안내표시따라 바로 능선으로 붙어  한참을  올라가니

 14: 05  100세공원 갈림길

  좌측으로는 100세공원 우측으로는 매천동 태전동 표시를보고  우측으로가본다.

 오래된 시그날이  하나식 보이는

 이렇게 좋은 길을 조금가니  운동시설이있는 쉼터가나온다.

 좌측으로는    태전동 등/하산길   바로올라가며는  매천동돌아 하산가는 길이다.

 14:10  삼각점봉  대구 47

삼각점이있는 봉우리  잠시휴식을하고  다시 왔던길로  뒤돌아내려간다.

  테복산  삼각점

 

 14:15  운동시설이있는 쉼터

다시 쉼터로 뒤돌아와 100세공원쪽으로  

  14: 20  쉼터에있는 100세 공원가는  안내표시을보고   .

  14: 25  좌측으로는  조금전에 올라왔던 길을 지나 100세 공원 방향으로

  좌측으로 두번째 갈림길

206고지를우회하는길에  있는 표지판.

 매천동 방향은 나중에 하산할길이다.

 갈림길 가운데   (국화를 보호해주세요.)

 14: 30 매천동갈림길에서 100세 공원쪽으로  적은 산봉우리리를 우회하며는

 비도 피할수있는 쉬어가는  이런 쉼터를 만나고  

  지나온능선

 

 앞에 돌탑이있는 봉우리가 100세공원

 14: 40    100세 공원 돌탑들

 100세공원 안내입간판

 셀프로 찍은 사진

 

 

 

 

 돌탑에서  조금 올라서니  화초 과일나무들이 심겨져있는  과수원농장같다은 기분이든다.  조성과 관리은‘백세목회’ 회원님들

  205 m봉     삼각점 이있고

  어느분 산행기에보니 가정산이지만 일대 주민에게는 가지산으로 부른다고한다.

 바로아래  대구사격장이보이고  

 건너보이는  237m 봉

 칠곡군 지천면쪽

100세공원 205m

지역 70세 이상 노인 주축 2002년부터 조성 시작 100여종 화초 심어

등산객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있다.

 정수리에는  쉬어갈수있게 평상과 의자 도있고

 산아래

사격장에서는  사격하는  총소리가  계속 들려온다.

건강하게 100세가지 살수있는 비결을 연구하는  작은  산막도있고  

  물탱크  비가올적에  지붕에 모인물을 물탱크로 모아 보관하였다가

 가물적에 꽃나무나  과실나무에  물을주기위한물탱크

 하산은  왔던길로 다시 내려가서

 갈림길에서  매천동족으로

쉼터  도 지나고

 15: 15  당산나무  갈림길 사거리

돌탑이있는 당산나무  좌측은  태전동 지름길 우측은  사수동으로 하산길이있고

여기에서 바로  능선으로 다시 한봉우를더올라간다.

 매천동 내려가는길

 이렇게 좋은 길을  가다보니  다시 갈림길에서  바로가면는 잠산으로가고

좌측으로는 매천동 매남마을로    하산을한다.

 

 

 

 15:35  어느산에서와같이  돌탑들이보이고

 니기다 소나무숲을지나  능선을 내려서니

 15: 45  매천동 매남마을이 보이고

 

 

 

 

 

 

 

 

 성심사 앞으로 하산이된다.  

 성심사

성심사(成心寺) 주지 선관(仙官) 스님 053-314-4971

 대구광역시 북구 매천동 111번지

 

 

 마을에서 바라보는 태복산 능선

  15: 50  매양서원앞에  주차해둔 차에도착 2시간 20분 산행 을 한샘이다.

 

태복산도  작은 야산이지만

칠곡에서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존재다.

심신단련과  쉼터기능은 물론 답답한 도시의 허파 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칠곡지역이 살기 좋은곳으로 거론하는대에는  이들 산이있기때문이라는

어느분의 글귀가생각난다. 100세가지 건강하게  살고싶어 이름지은 100세공원도

매천동과 팔달동, 태전동 주민이 즐겨 찾는 휴식공간이고  요즘들어 인터넷과

등산객 사이에 빠르게 입소문으로  퍼지고 있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