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새의 하루
좋은 하루되십시요

산행후기

문경 둔덕산 종주산행기 (블랙야크 대구서부점 산악회 )

산새1 2012. 6. 23. 19:11
반응형
SMALL

 

 

간날 : 2012. 6. 17(셋째일요일)  날씨 : 맑음

간곳 : 둔덕산 969.6m

위치 : 경북 문경시 가은읍/ 농암면

참가인원 : 블랙야크 대구서부점산악회회원 41명

 

찾아가는길 : 대구에서

경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문경 - 가은 - 완장리 -학천정

 

 

산행코스 : 솔고개 ~ 학천정 ~둔덕산~손녀마귀통시바위~마귀할멈통시바위~밀치

월령대~용추폭포~대야골 산장~ 벌바위주차장(약 13 km, 6시간반 )

   

일정 :

07:00 대구출발 07:40 (선산휴게소 아침) 09:40 학천정입구 (등산시작)

11:30 둔덕산 11: 45 정상에서 출발 12:05-12:30 957봉 (점심)

13;10 하산갈림길 13: 20 손녀마귀통시바위14: 00마귀할미통시바위

15:10 밀재/ 밀치 15: 40 떡바위 16: 40 주차장

17: 50 ( 주차장출발) 19 : 30( 대구도착)

 

산소개

둔덕산은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 선유동 마을 남쪽에 있는산이다

정상 북서쪽의 대야산의 명성에 가려져있는 산이지만 문경8경 중의 하나인

선유동 수려한 계곡을품고 있다,

 

백두대간이 소백산을 지나 희양산(999m)과 대야산(930.7m)에서 속리산으로

넘어가기가 아쉬운 듯 아름다운 계곡과 뛰어난 봉우리를 많이 남겨 놓았다.

 

운강 선생은 1858년 12월 30일 둔덕산이 바로 보이는 가은읍 완장리에서

태어 났는데 태어나기 3일전부터 둔덕산이 웅웅 소리를 내며 울었다고 한다.

당시 사람들은 둔덕산이 우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고 하며 신기해 하였으나

운강 선생이 태어나자 울음이 그쳤다고 전한다.

 

09: 30 학천정 입구

여름철에는 돈내고 들어가야한다.

선유동계곡과  둔덕산

문경팔경 선유동계곡 표석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에 있는 계곡

산이조치요

대산/ 박영식대장

선유동계곡

09: 45  학천정 (鶴泉亭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의 선유동 계곡에 있는 정자로 조선 후기 학자인

도암 이재(陶庵 李縡)의 덕망을 기려 세웠다.

선유동계곡 으로 들어가  우측으로 산길따라

계곡에서 우측 희미한 산길로 올라선다

작은 능선에 올라선다.

자연 휴양림에서 올라오는길인둣

선두 박이환 대장이 매달아논 시그널

육산이며서 계속 오르막을 올라가야하는  난코스

나무화석 지대를지나

11: 30    760봉  전망대

멀리 속리산, 청화산, 조항산, 대야산, 장성봉, 희양산이 둘러서 있어

전망이 아주 좋은 정상으로 가기 전 휴식을 취하기에 좋은 곳이다

11: 33   둔덕산 정상

앙증맞은 정상석과  좁은 공터가있고

삼각점(속리 805) 옆에 정상비석이 있는 정상에서 사방으로 펼쳐지는

조망은 장쾌하다. 우선 북서쪽으로는 용추골(큰골) 건너로 수석처럼 아름다운 대야산이 마주보인다

선두팀들 단체사진을 찍고

대구 백마산악회 팀들과  한장

호세지육님 부인

 

11: 50  정상에서 능선따라 하산을 하다가

 

11: 55  자연휴양림에서  오라오는 갈림길

우측헬기장에서 계속 남서쪽 능선길로 15분 거리에 이르면 '둔덕산 정상 0.5km' 라고 쓰인 안내판이 있는 삼거리에 닿는다

문경소방서  구조번호 8번지점

하얀 속살을  보여주는 희양산

헬기장

12: 00  957봉    점심시간

민생고 해결을하고

11: 30  다시  대야산 방향으로 출발

7번지점도지나고

지도를 살펴보고

벌바위 갈림길

둔덕산 5번지점을지나   4번지점 에  벌바위로 하산하는 길이있다.

13: 10   태사장 형제분과 친구

이길로하산하기전에 한컷남기고

조심해서 내려가세요. 

뒤돌아본 둔덕산

13: 20  손녀마귀 통시바위 아래 이정표

서쪽 방향으로 난 뚜렷한 능선길을 따라 10분 거리에 이르면 본격적인

암릉코스가 시작되는 손녀마귀통시바위가 나타난다.

통시바위옆에 송월님과 문희용님

손녀마귀 통시바위

송월 / 오세덕님

문희용님

산새 /우종희  필자

마귀할멈 통시바위 쪽  암봉들

유명식 대장

기암 1

젖꼭지바위

당겨본모습

기암앞에서 유대장과

지나온 능선길

14: 00' 굴바위

몸통 하나 겨우 빠져 나갈 수 있는 굴바위에서 왼쪽으로 우회하는 산길이 있지만,

재미로 굴바위를 어렵사리 빠져나와 전망바위를 오르면 정면으로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는 깎아지른 100여m 높이의 마귀할미통시바위

기암지대가 시야에 들어온다

바위절벽에 자라는 풀

 용추계곡 하산길

오늘 우리 후미팀들이 하산한길

 왼쪽으로 조항산과 속리산 연봉이 시야에 들어오는 암릉길을 타고

 45분 거리에 이르면 마귀할미통시바위 꼭대기를 밟는다.

 14: 15 하산길

 14: 30  854봉

 854봉 에서 한장 남기고

구멍바위

급경사 내리막길

밧줄을 잡고 조심해서 내려가야한다.

15: 10   밀재 / 밀치

 안부 삼거리에는 '밀재 1시간20분, 월영대 4km' 라고 쓰인 안내판이 있다

밀치에서 기념사진

용추계곡하산길

15: 20  사기굴

15: 40   떡바위

떡바위 이정표

15: 50  월영대

문경팔경 용추계곡

16: 16: 05  손과 발을 씻고  

주차장까지 500m

용추폭포

 

 

 용추골 계곡길을 따라 30분 거리인 용추를 지나

 10분 가량 계곡을 빠져나오면 대야산장 앞이다

좌측으로  작은 산허리을 넘어

 

 

 

 

 

 

16: 10  벌바위 주차장에도착

 17: 30  하산주 

시원한 막걸리로 목을 축이고  안주  옷닭 백숙

17 :30   한백산악회 여총무 토끼님과 친구분도 만나고

17: 00  용추계곡 벌바위 주차장을 출발하여  칠곡휴게소에 한번쉬고

19: 30 대구에도착 하루 일정을 마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