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구산 돗틀바위
간날: 2011 3.13 일요일 날씨 : 맑음. 바다 해무
간곳: 남해 호구산 619m
위치: 경남 남해군 이동면
참가인원 : 대구우정산악회 회원 40명
찾아가는길 :
대구에서 - 구마고속도로 - 고령에서 진주국도 - 삼천포- 삼천포 /남해 대교 -
앵강고개 - 용문사주차장
산행코스 : 앵강고개- 임도 - 공동묘지 갈림길-돗틀바위 -호구산(납산)-염불암 갈림길 -
561봉 송등산 삼거리 -544봉 -388봉갈림길- 백련암 - 용문사 -
용문사 대형주차장(4시간~ 4시간반)
구간별 시간 :
07:40 (대구출발) 08:30(고령휴게소아침) 10:50 (앵강고개 도착)
11: 20 ( 석포리갈림길 )11: 30 (공동묘지 갈림길 ) 12: 10 (돗털바위)
12: 35 용문사갈림길 12: (납산)호구산정상 13: 40(하산시작 )
14: 15 송등산삼거리 - 14:50 (백련암) 15: 10 (용문사주차장)
16:00(창선교아래 주차장) 16: 50(하산주 ) 17: 40( 남해출발)
21:00(대구도착)
산(山)소개:
호구산은 납산 도는 원산(猿山) 이라고도하고
호구산이란 이름은 산이 호랑이 형상을 닮아서 붙여졌다는 설과 옛날 지리산에서 건너온 호랑이가
이 산에 살아서 호구산이라 했다는 설이 전해진다.
정상에 오르면 멀리 광양, 여수, 하동, 통영이 모두 보이며 잔잔히 펼쳐진
바다가 포근함을 느끼게 한다.
지형도에는 산이름이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송등산, 괴음산 등 산군을 엮어
호구산으로 대표되는 "호구산군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산행기 :
우정산악회는 3월정기산행을 구제역과 산불 경방기을피해 남쪽에있는 남해 호구산을
산행하기로하고 대구를07: 40분에 출발하여 국도변 고령휴게소 에서 아침을 먹고
진주로해서 사천으로 들어가는 새도로로해서 사천대교를 건너 남해 용문사 들어가는
앵강고개에 산행을시작하고 버스는 용문사 대형주차장으로 보낸다. .
10: 50 앵강고개 등산로입구에있는 산행지도와 이정표
뒤쪽에 밀양박씨 청재공파 선산 표석이있고
임도길과 산길있는데 좌측으로 자세히 보아야 산능선으로 올라가는길이있다.
안내 리본이 두어개 붙어있다.
산청군 금서산악회에서 우리와같은시간에 도착 등산준비를하고있다.
임도따라 두 산악회에서 같이 등산을 시작한다.
첫번째 갈림길에서 좌측 비포장길로 올라간다.
하산하는길이아니고 잘못올라가서 다시 내려오는중
입구에서 산길을 놓처 계속 임도따라 간다.
석평 저수지와 석평리 앵강만
호구산 돗틀바위봉이 보이기시작하고
줌으로 당겨본 돗털바위
11: 20 석평리 삼거리
우측으로는 석평리로가는 길이고 등산로는 좌측으로 꺽이면서 방향 이정표도서있다.
오늘 종주팀들 기념찰영
앵강고개 산길 능선길과 합류지점에서
산청 금서산악회 회원들이 휴식을하고 있다.
방향표시 이정표
박두선 부회장 과 친구 . 유병열 씨 잠시휴식하면서 과일로 목을 축이고
용문사 대형주차장에서 공동묘지 거처 올라오는 갈림길 에서 우측 산길로 접어든다.
매년 11.1 ~ 다음해 5.15 까지 입산통제 안내판은 서있어도 등산을 허용하고있다.
화기물만 지참하지않으면된다는 현수막 많이 햇갈린다.
편백나무 숲도지나고
헬기장도 지나고
성 흔적인지.? 아니면 산 경게인지 산능성이를 따라 돌담흔적이 계속 이어진다.
지나 올라온 능선
석평리와 앵강만 모습
산을 사랑하는 일량만강 이정덕 선배님의 반가운 표시기
돗틀바위봉을 올라가는 불곰 박이환님과 정명랑
돗틀바위 봉올라가는 회원들
돗틀바위
호구산으로 올라가는 능선길
뒤돌아본 돗틀바위능선
능선에 헬기장을 지나올라오는 정용수씨와 여친구 그뒤에 진경환 친구
진양하씨 묘지를지나 나무가지 사이로 호구산 정상이 뽀쭉하게보인다.
석평리 공동묘지 갈림길 하나더지나고
호구산 정상이 점점 가까이 보인다.
12: 35 용문사 갈림길
용문사에서 염불암 거처 올라오는 삼거리
넓은 공터에 이정표와 휴식하고있는 산객들이 많이 보인다.
낮기온이 20도가지 올라간 오늘 꼬마들이 아예 위옷을벗고 개임을하고 놀고있다.
전망대끝에서 내려다보는 용소리와 해무속에 앵강만
백련암이 내려다보이고
하산할 능선과 호구산 백련암코스
올라온 능선길
광주 블랙야크 산악회 답사흔적
마지막 암봉을 올라서면는 호구산 정상
12: 45 호구산 626.7m
호구산은 납산 한문으로 (猿山) 원숭이 원자이다.
정상석 뒤면에는 일명 호구산
옆면에는 이천이년 사월 이일세움
정상에 봉수대
정상의 조망해설판 (클릭하며 크게볼수잇습니다. )
정상에서 점심을 해결하고
역순으로 올라온 성서초등학교 동문 김태길 친목회원님들을 만나고
점심식사후 기념찰영
단체사진
산새도증거용으로 한장남기고
김병환회장과 아리수 /김명희님
성산초등 돔문들 (박정석. 이석곤. 우종수)후배들
모처럼 참석한 진경환님
봉심산악회 이원태부회장이 오늘 참석하였고
정용수회원과 여친구
들국화님
오늘 하산한길
13; 40 호구산 정상에서 하산할길을 살펴보고 하산을한다.
부산 산악회에 산사랑하는 현수막도있고
14: 00 염불암으로 첫 하산 삼거리
14: 05 두번째 염불암 하산길도지나
송등산이 바로앞에보이고
14: 15 561봉 송등산 삼거리
남면 두곡쪽으로 하산을한다.
블랙야크 대구남구점 임효재 사장 / 산악회 산대장
토요일 오은선대장과 함께 서울 도봉산 산행을하고 밤에 가게를보고
오늘도 우정을 도와주려 온 철인같은 사람이다. .
14: 20 544봉
우로 우회하는길이있고 능선으로 올라가니
아무련 표시도없고 산악회 표시기가 두어개 달려있다.
544봉에서 바라보는 호구산 모습이다.
용문골에 자리잡고있는 용문사와 백련암
하산길에 전망바위에서 호구산 배경으로 임효재 대장
앵강만과 용소리
암능길을 내려오는 임대장
338봉 가기전에 좌측으로 백련암으로 하산하는길
338봉까지는 희미한 산길은 있지만 전망대이고 더이상 하산길이없고
다시 뒤돌아내려와야한다.
편백나무 숲를 지나
백련암이보이고
14: 50 백련암
백련암은 용문사 부속암자로 조선 영조 27년 (1751)에 창건한 수행도량이다.
요사체 걸린편액은 경봉스님의 선필이라고함.
백련암 보광전
백련암과 호구산 입구
15: 00 용문사
용문사는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금산을 찾아와 세웠다는 보광사의 사운이 융성해지면서
근처에 들어섰던 많은 절들과 함께 지어진 것으로 보광사의 후신이라 전해오고 있으며
용문사입구 천왕문앞에서
대웅전은 지방유형문화재 제85호, 대웅전옆 별채에 봉안되어있는 석 불은
지방유형문화재 제138호, 용문사 천왕각은 문화재자료 제150호,용문사
명부전은 문화재자료 제151호로 지정되어있다.
사찰내 사진 찰영금지
용문사 사찰 답사는 사진을 찍지못하고
밖에서 안을 들어다보기만하고 도로를 따라 내려가니 일주문을 지나 우측으로 새로
개설한 도로를다라 주차장에 도착합니다.
15: 10 용문사 대형주차장에도착
관광버스들이 몆대서있고 특산물파는 상인은 예나 지금이나 여전히 장사를하고있다.
하산주 부탁할곳 상가와 식당이없어 차량을 창선대교 아래로 이동을한다.
15: 20 주차장을 출발하여 삼천포 건너기전 창선대교아래에서
너울횟집에 부탁하여 산악회에서 준비한 맞있는 돼지고기 안주하산주 만드는동안
자유시간40분정도주고
역시 하산주시간은 즐거워
오늘오신분들의 건강과 우정산악회의 무궁한 발전을 위하여 건배도하고
17;40 창선대교를 출발하여 진주휴게소 고령휴게소에 한번씩 휴식하면서
21: 00에 대구에 도착한다.
'우정산악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순 백아산산행사진 2(대구우정산악회) (0) | 2011.11.16 |
---|---|
화순 백아산산행사진 1(대구우정산악회) (0) | 2011.11.16 |
산청 둔철산(屯鐵山) 산행기 (0) | 2010.12.14 |
영광 불갑산( 佛甲山) 산행기 (0) | 2010.10.13 |
월악산 만수봉 (萬壽峰) 산행기 (0) | 2010.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