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비슬산 둘레길 4구간 (옥녀봉- 유곡리 - 안심마을 ) 트레킹

산새1 2020. 5. 1. 18:06
반응형
SMALL



간날 : 2020. 4 30.  목요일/ 사월 초파일 공휴일   ,  날씨 : 맑음 / 운무  

간곳 : 비슬산둘레길 3구간 3- 23 부터 4 구간 원당마을


위치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참가인원 :  필자/ 홀로 /  답사중 배준호님과 동행


찾아간길 :

네케이션 :  짐실  ( 대구 달성군 유가읍 유곡리 ) 


 산행코스:

비슬산 둘레길 전체코스



비슬산 둘레길 3.- 4코스중

옥녀공원 주차장 - 오동산/ 옥녀봉 - 광장임도 /둘레길 3구간 - 유곡지

유곡마을회관 - 장곡재 임도 -  석새미 쉼터 - 임도 - 용고개 - 각료암 갈림길

안심소류지 -안심마을 -  4구간 끝지점 -도로 - 월곡저수지 -

창녕군 성산면 과  달성군 현풍면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대산 버스 정류장 

(산행거리 15  km  산행시간 4시간반 ) 



산(山) 소개:

비슬산 (琵瑟)

대구광역시 달성군과 경북  청도군 .경남 창녕군 3개시도에 걸쳐 있는 산으로

<‘비슬’>이란 이름은 비파 비(琵), 큰 거문고 슬(瑟)자에서 보듯 정상 바위의

생김새가 신선이 앉아 비파를 켜는 형상이라 해서 붙여졌다고 한다.


비슬산둘레길은

대구 남구. 달서구. 달성군과 경남 창녕군,

경북 청도군을 지나가는 11개 구간 108km 이다


비슬산둘레길 제3구간 유가테크노길

대구시 달성군 유가면 양리 유가사에서 유가면 유곡1

짐실쉼터까지 이어진 8.3둘레길이다


비슬산둘레길 4구간 석새미 송림길

달성군 유가면  유곡마을회관에서 시작하여   장곡재 임도따라 

석새미 쉼터를지나 용고개을 넘어  안심마을 까지 8.1km 

모두가 임도따라가는 코스이다.


석새미(석샘)쉼터

유가읍 유곡리 관음정사 가까운 산기슭에 있는 석새미(석샘)는 한국전쟁 때

이 골짜기로 들어온 피난민들이 많이 이용했고, 물이 귀한 시절에는

유곡리 사람들이 식수로 활용했다고 한다


오동산 /옥녀봉

비슬산 유가면 방향 끝지잠에   오봉산  봉우리가  현지 산이름은  옥녀봉이다.

산자락에 옥녀봉 공원과 체육공원 을조성 해놓았다.


4월 마지막날  불탄절 공휴일  차를몰고  비슬산 둘레길 4구간을 트레킹하기위하여

달성군 유가면 3구간 끝부분지점  옥녀공원 주차장에 10시 50분에 도착한다.  

 

옥녀 공원  주차장에 주차를하고



공원안내도와



이용안내를  살펴보고



목교를 건너


돌계단을 올라가며는




좌측으로 야자매트길  입구광장 / 다목적 구장가는길이다,






올라온길을 뒤돌아보고



갈림길

침목계단을 올라가며는  팔각정쉼터가는길이고 



옥녀봉 정상은 우측으로 돌아가는데 밴치 쉼터를 지나고



농구장 갈림길을 지나



침목계단을 올라가며는



의자 쉼터가 있는 오동산  옥녀봉 정상 에 올라선다.



11: 15   오동산 (옥녀봉)161m



오동산(옥녀봉)정상 삼각점




제3 광장 방향으로 내려간다.




제 3 광장

비슬산에서 내려온 산줄기가  오동산(160.5m  옥녀봉)을

오르기 직전의 임도 고개마루




이정표(짐실마을 쉼터 1.7km)



시멘트 길 따라 내려간다



유곡지 위 삼거리

 



아직까지 비슬산 3구간이다.



유곡지

세월을 낚고있는 강태공




유곡시내버스공영주차장



도로따라 쭉~욱  나간다.



큰 공단 뒤 도로에서 좌측으로



잠실 마을 쉼터 방향으로



비석은 서있는데  묘지는 보이지 않는다.



앞에 짐실마을을 바라보고



보리밭 옆으로지나가기도하고



12: 00    유곡1리 마을회관

비슬산둘레길 3구간 끝이고  4구간 시작지점이다.



등산객들이 지나다니면서  민패을 많이 끼치는모양

도시자연공원 구역해재 하자는 현수막  그뒤에 마을표시석이서있다. 



 제4구간 석새미송림길 안내판과 짐실쉼터(정자)

 버스정류장 마을버스도 들어오는 모양



4구간 지도가있고



비남재(琵南齋)

유곡 유마을 뒤에 소재한 비남재(琵南齋)  .

가선대부를 지낸 의성김씨 김춘란을 추모하기 위해 지은재실

...


경화문(敬和門) 현판을 단 대문



바남재를 뒤로하고  관음정사 방향으로  발길을 이어간다.



뒤돌아본 유곡1리  짐실마을



비슬산 둘레길 4구간 2번 지점을 지난다.



산불감시초소을 지나고




장곡재 임도 표시석



임도구부러지는곳  반사경앞에서



반사경앞에서  내모습을 바라보고



석새미 쉼터방향으로 가는길가에



택지조성 한곳을이 자주 보이고  



좌측에 장의사 버스가 보이고  엄불하는소리가 들리긴한데

사찰이나 암자은  보지 않는다.



우측으로 능선하나가 분기되는데 철탑이 지나가는 능선이다 . 



철탑관리 길이 뚜럿한것을보니  능선길이 좋을듯하다.  

나중에 이능선으로도 한번 내려가보고싶다



비슬산둘레길 4-9을 지나



임도는 꾸불꾸불 아어간다.



석새미 입구 가든 식당 2곳  큰 입석이 서있고   



 13: 00    석샘쉼터(정자)

좌측으로 관음정사가는길이고  우측 임도를 따르며는  용고개로해서

둘레길 4구간이 이어간다.



석새미쉼터는 육각기와지붕정자

석새미라는이름은돌로만든 샘이라는뜻의 석샘에서 비롯됐다.


석샘은 정자쉼터와 관음정사사이 산기슭에 돌로샘 주변을둘러싼 석샘을 발

견할수있다고하고 . 물이솟아나는 석샘주변으로는 사람이쌓아올린

돌무더기가 둘러쳐져 있다고한다,






석새미쉼터에서 현풍유가에사는 배준호씨를만나 같이동행을하게된다.  


용고개까지는 2.8 로 오르막길의 연속이다,



가태임도따라 우측으로 돌아가다 다시 좌측으로 올라가면서

관기봉에서흘려내린   비들산능선



용고개방향 임도따라  올라가며는



비슬산둘레길 4-15 표지  왼쪽에  관음정사가 바라보이고 .



 임도변에 산나물 체취 차량들이 자주보인다.



전나무 군락지




 13: 50 용고개

가태임도는 대구 달성군과 경남 창녕군을 잇는 산림관리용 도로로

 비슬산 관기용 산자락을 넘는 길이다. 4구간의 거의 대부분이 가태임도 구간이다.



용고개-비슬산둘레길 제4구간 석새미송림길 안내판.

대구 달성군과 경남 창녕군의 경계이기도하다.



배준호님

현풍 유가에 사는 혼자서 산을 좋아하는 사람

 지금 당분간 시간이 많다고하니   산 열심히 다니면서 

체력 보강하고 면역력 많이 키우고 건강하세요,    



필자 / 산새



임도삼거리




각료암 갈림길



이정표

창녕 안심마을 2.5km/짐실마을 쉼터 5.2km 각료암 1,5km




비슬산둘레길 안내 표지는  오른쪽으로 내려가는길에는 보이지 않는다.




안심소류지.




비들산 정상부에 위치한 각료암을 당겨본다.




원당 큰마을과  상수원 넘어가는 도로



14: 30    안심마을 중담버스정류장 안심경로당앞

비슬산 둘레길 4구간 종점이다




이곳에서 비슬산 둘레길 4구간을 마치고  우측으로 도로따라 내려간다.



마을 앞에 효자각




도로따라 내려가면서



안심마을 표석



월곡저수지





수준 기준점  235.1m




14: 50    월곡 버스 정류장이보이고



창녕군 성산면 과  달성군 현풍면  갈림길에서  우측 으로



대산 버스 정류장도지나고



현풍 달창 저수지 방향으로 도로따라가며는



이곳에 마늘재배을 많이하는곳이다.



15: 30  대산 버스 정류장

대산마을이  대구 달성군과 경남 창녕군 경계이다

그래서 대구시내버스가 이곳까지만온다




달성 6번 버스가  저 안마을에서  회차하여 돌아나온다.



들어가는것을보고 한 20분 기다리니  버스가 내려온다.



15: 40  버스를타고  현풍 IC 부근에서 내려 


  주차해논

 유가면 용리 옥녀공원으로 가면서




 배준호씨와 해여지고  대구로 귀가하였다.



트랭킹 통계

고도



오록스궤적




트랭글궤적


오록스 통계


트랭글통계






반응형